▲ 추태엽 씨가 경서동 자연부락 112가구 주민들과 김포 간척지 자조근로사업에 대한 얘기를 하고 있다.
▲ 추태엽 씨가 경서동 자연부락 112가구 주민들과 김포 간척지 자조근로사업에 대한 얘기를 하고 있다.
"20년 전 IMF 외환위기 때 도시락을 싸 들고 동아건설 본사, 과천 농어촌공사를 찾아가 땅을 분배해달라고 시위도 하고 정부 상대로 소송도 걸었지만 법원에서 지면서 동력을 잃었습니다. 땅만 찾을 수 있다면 무엇이든 하겠다던 주민들이 많이 상처 받았어요." 추태엽(60·경서발전회장) 씨는 김포 간척지에서 20여 년 농사를 지었다. 그의 아버지와 형은 1965년부터 10여 년간 김포 간척지 매립공사 자조근로사업에 참여했다. 가구당 9천900㎡ 땅을 준다는 말에 당시 추 씨가 살던 경서동 자연부락(112가구)은 가구당 2∼3명씩 자조근로사업에 나섰다. 한 달 노임은 밀가루 72㎏이었지만 근로 영세민들은 50㎏ 이하만 집으로 가져 갔다. 나머지는 ‘땅 값’으로 치른다고 생각했었다.

추 씨는 "매립승인권자인 이명수 전 봉덕학원 이사장네만 땅을 받고 영세민들은 법을 모르고 배움이 부족해 손에 아무 것도 쥐지 못했다"며 "봉덕학원은 땅 받아서 생활관 짓고 할 때 경서동 자연부락 사람들은 땅 한 평 못 받고 밀가루로 수제비 밖에 끓여 먹지 못했다"고 회상했다.

함께 자조근로사업에 참여한 청라도 약 40가구, 경서동 난지도 약 20가구는 간척지 땅을 아주 조금이지만 받긴 받았다. 땅을 받을 수 있다는 경서동 주민들의 희망은 IMF 때 동아그룹이 무너지면서 완전히 사라졌다. 동아가 가진 김포 간척지를 분배받기 위해 정부 도움이 필요했지만 수포로 돌아간 것이다.

농어촌공사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 땅 주인이 옮겨가면서 다행히 경서동 주민들은 정식으로 임대차 계약(2004년)을 맺고 농사를 시작했다. 추 씨는 1992년부터 벼농사를 지었다. 땅을 분배받았으면 112가구를 영농조합으로 묶어 농사로 얻은 수익을 배당금으로 지급하려고 했다. 김포 간척지 개발이 시작되면 농사를 멈추고 각자 알아서 땅을 팔거나 이용하는 꿈을 꿨다.

경서영농회사법인을 만들어 10만2천237㎡에 농사를 졌던 추 씨는 임대료로 연간 821만 원을 냈다. 19개 영농법인이 152만7천802㎡에 벼농사를 지었고, 연간 30억∼40억 원의 수익을 냈다. 사실 LH가 땅을 농경지로 빌려준 건 세금을 감면받기 위한 수단이었다. 동아는 김포 간척지에 농사를 짓지 않아서 비업무용 토지 보유세 등 연간 200억 원의 세금을 물었다. 청라국제도시가 들어오면서 경서동 주민들은 농사도 못 짓게 됐다. LH를 상대로 보상을 놓고 싸워봤지만 돌아온 것은 1천만 원뿐이었다. 이것도 농어촌공사가 위로금으로 지급한 거였다.

추 씨는 "농기계가 대당 5천만∼1억 원이 넘어 주민 중 5억 원 이상 투자한 사람도 있다"며 "간척지 땅을 못 받아 상처받고 닦아 놓은 농경지에서 쫓겨 나면서 두번 상처 받았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3면>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