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 대한민국 목재산업박람회’가 7일 인천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려 시민과 참가자들이 다양한 업체와 체험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2017 대한민국 목재산업박람회’가 7일 인천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려 시민과 참가자들이 다양한 업체와 체험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1970년대 전성기를 맞았던 인천의 목재산업이 점점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지역 목재산업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친환경 정책에 맞춘 시설 현대화가 급선무라는 지적이 많다.

7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인천 서구의 목재 생산업체는 모두 546곳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 중 제재업으로 등록한 업체만 206곳에 달한다.

인천 북항을 통해 수입한 원목은 201만t으로, 전국 수입 물량인 374만1천t의 53.7%를 인천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원목을 제외하고 목재나 목탄, 코르크 같은 목재류의 지난해 인천항 수입량은 168만2천t으로, 전국의 11.4%에 불과해 부산이나 광양, 평택항 보다 경쟁력이 낮다.

2009년∼2014년 인천의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은 11.1% 줄었고, 가구 제조업도 4.3% 감소했다. 반면, 전국은 이 기간 동안 각각 8.7%, 9.6%가 증가했다.

인천의 목재산업은 1980년대 초반까지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대기업들의 현지 법인 설립 후 가공 합판 수입과 개발도상국의 원목 수출금지 등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여기에 새시 등 새로운 건축재 등장과 수도권 역차별 정책, 영세화와 구인난 등으로 하나 둘씩 경기도 등 타 시·도로 빠져 나간 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날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17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가 인천의 목재산업 현실을 그대로 보여줬다. 박람회에는 총 120여 곳의 기업과 단체가 참여했다. 그러나 인천지역 기업·단체는 고작 10곳이 되지 않았다. 박람회에 참여한 한 목재 제조업 관계자는 "목재산업은 특성상 항만을 끼고 발전할 수밖에 없는데, 인천은 주거단지가 점점 산업단지와 가까워지며 각종 민원으로 공장이 쫓겨나는 모습이었다"며 "기업들은 환경오염을 줄여 주민과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의 한 가구 제조업체 대표는 "전 세계의 탄소저감정책과 신재생 에너지 정책에 맞춰 친환경 인증을 받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해야 살아남는다"고 강조했다.

양용구 ㈔대한목재협회 이사는 "인천시가 목재산업 시설 현대화 사업에 예산을 확대해 편성하고, 공공기관이 지역 업체들의 목재를 우선 구매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서구에 목재박물관이나 목재문화체험관을 세우면 지역 목재산업의 부활이 가능할 것이다"라고 했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