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이 폐지 줍는 일을 멈추지 못하고 있다. 인천에서 생계가 어려운 노인들이 자녀들에게 짐이 되지 않으려고 밤낮 없이 거리를 누비며 폐지를 줍는 노인들의 수가 1천여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는 보도다. 이들은 오로지 수족이 온전할 때 움직여 스스로 생활비를 벌겠다는 생각뿐이다.

 우리사회가 고령사회를 넘어서서 초고령사회로 질주하고 있지만, 국가적으로 이에 대한 마땅한 대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노년의 삶의 질에 대해서도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고령화는 엄연한 현실일 수밖에 없다. 어차피 의료기술 발달로 노인인구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노인인구 비율이 현재는 14%지만, 2060년에는 40%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이 처한 현실은 비참하기만 하다.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지난해 기준 47.7%로 2명 중 1명은 빈곤이라는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이는 OECD 평균에 비해 4배 가까이 높아 최하위를 기록할 만큼 준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은퇴 이후 마땅한 소득이 없으니 경제적 빈곤과 정서적 불안에 처한 노인들에게 세상살이는 힘겹기만 하다. 과거 대가족 제도에서 노인들은 재산권을 가지고 있었고 손자·손녀와 함게 생활하면서 외롭지 않았고, 의식주를 비롯해 질병 발생, 노후 문제에도 별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됐다. 그러나 핵가족 제도에서 노인들은 수입이 없는 데서 오는 경제적 곤란 및 질병에 따른 고통과 외로움 속에서 무의미한 나날을 보내게 된다. 유례가 없는 빠른 고령화로 노인 복지제도를 마련할 시간이 부족했고, 경제위기로 노인문제에 관심을 기울일 겨를이 없었기 때문이다.

 스스로 자립할 수 없는 노약자는 국가와 사회공동체가 책임지는 게 당연하다. 복지 사각지대에 내모는 것은 더불어 사는 사회, 건강한 사회가 아니다. 효의 개념이 바뀌고 부모조차 모시지 않으려는 세태 변화에 대응할 합리적인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가족에게 모든 책임과 의무를 떠맡길 일이 아니다. 노인문제의 실질적인 대안은 계층 간, 연령 간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 노인문제를 계속 방치하다가는 큰 재앙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