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jpg
▲ 매립이 완료된 송도국제도시 11-1공구와 매립이 진행 중인 11-2공구 전경. <기호일보DB>
송도국제도시의 마지막 남은 노른자 땅을 대학들이 차지하려고 발버둥치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도 이곳에 바이오융합 산업기술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대학들의 요구가 만만치 않다. 송도 11공구 터를 가치 있는 땅으로 만들기 위해서도 대학의 중복 유치보다는 인천의 미래 신성장산업을 집중 육성하도록 토지이용계획을 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7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유 시장은 지난달 하순께 바이오융합 산단 조성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인천경제청에 관련 방침을 전달했다.

하지만 인천경제청은 바이오 산단 수용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발주한 ‘송도 11공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수립’ 용역이 진행 중이어서 결과가 나와봐야 바이오 산단을 조성할지 아니면 말지 결정할 수 있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이 용역은 3년 간 진행된다. 여기에 송도 11공구 입주를 희망 하는 기업과 학교, 기관 등이 요청한 토지면적만 433만㎡에 달해 가용용지(333만㎡) 기준을 초과한 상태다.

실제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인천TP)가 주축이 돼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융합 산단은 송도 11공구 내 산업·연구시설 용지(153만㎡)에 18만4천588㎡ 규모로 들어서야 하지만 같은 터에 연세대와 인천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이미 요구하고 있는 터만 200만㎡이 넘는다. 인하대도 22만여 ㎡의 땅을 선점해 놨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은 생산 효율성은 낮고 지역 경제 발전에 상대적으로 기업보다 기여도가 낮은 대학의 입주 요구를 더 이상 들어줘서는 안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들 대학이 일찌감치 송도국제도시에 입성해 저마다 둥지를 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인천이 내년에 세계 1위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규모(51만 L)를 보유하게 되는 만큼 소수 대기업과 생산시설 위주로 편재된 열악한 지역 바이오산업의 생태계를 송도 11공구를 통해 극복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바이오융합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의 땅’으로 송도 11공구를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시와 지역 경제지원기관도 송도 11공구가 바이오·뷰티·의료기기 등 바이오융합 시장을 선도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집적지로 도약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다.

시의 당초 계획대로라면 연말까지 인천경제청과 인천TP가 토지공급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착공했어야 했다.

하지만 인천경제청이 인천TP의 거듭된 요청을 수용하지 않으면서 이 사업은 또 해를 넘기게 됐다.

시 관계자는 "경제청에 인천시장의 방침을 전달했지만 현재 관련 용역이 진행 중이어서 내년에야 다시 바이오산단 조성 논의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11공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