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사진 = 연합뉴스
올해 6·13 지방선거에서 정책 실종이 우려된다. 타 시·도와 달리 인천은 각 정당 시당에 지역정책을 개발하고 비전을 제시하는 싱크탱크가 없기 때문이다. 선거를 코 앞에 두고서야 꾸려지는 지방선거대책본부가 단 몇 개월 만에 정책연구와 공약개발을 수행하는 식만 되풀이되고 있다. 이러다 보니 타 지역보다 한 발 앞선 미래 발전과제의 공약화는 기대하기 어렵다. <관련 기사 3면>
9일 인천 지역 정가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국민의당·정의당 인천시당은 선거를 6개월 앞두고 공약 개발을 비롯해 선거를 치르기 위한 조직을 구성하고 있다.

민주당 시당은 다음주 초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다. 한국당 시당은 이달 안에 공약개발단을 만든다. 국민의당 시당은 바른정당과의 통합이 마무리되는 대로 조직 정비에 나선다. 정의당 시당은 다음달 중 선대본을 출범시킨다. 각 시당은 이달부터 공약 개발을 위한 지역 현안을 검토하고 정책적인 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시·군·구의원 등이 담당한다. 공약 완성은 4월로 잡고 있다. 3~4개월 만에 공약을 ‘뚝딱’ 만드는 식이다. 타 지역은 다르다. 시·도당 내 부설연구소가 있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이며 미래발전적인 정책 제시가 가능하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2015년 4월 시당 부설 정책연구소인 ‘오륙도연구소’를 개소했다. 제20대 총선을 시작으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부산지역의 정책과 공약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시당 주도의 어젠다를 실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 개발과 교육기능을 담당할 기구도 형성했다. 지역 내 단체와의 유기적인 연대와 정책 네트워크 강화도 꾀하고 있다.

민주당 경기도당은 지난해 9월 ‘경기민주연구소’를 창립했다. 지방자치와 분권시대를 맞아 경기도의 상황과 현실에 맞는 지역 중심형 연구소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경기도민이 원하는 정책 개발을 통해 지역균형 발전을 이루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한국당 부산시당은 앞서 2015년 7월 ‘부산행복연구원’을 설립했다. 부산행복연구원은 중앙당과의 긴밀한 정책 협조를 통해 부산의 정책을 개발하고 당면한 현안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탄생했다. 여기에 청년 일자리를 포함한 부산의 일자리 창출을 모든 연구의 주요 목표로 정했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교육하기 위한 세계시민아카데미도 설치해 운영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시당의 싱크탱크가 있다면 오랜 시간 지역의 각종 자료가 축적되고 사람이 쌓일텐데 그렇지 못해 아쉬움이 크다"며 "이런 탓에 지역 발전을 위한 양질의 공약이 나오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한 시당 관계자는 "이번에 시당 내 연구소를 만들려고 했지만 인건비 등의 예산 문제 때문에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며 "연구소가 없어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각종 포럼과 토론회 등을 열어 전문가와 시민들의 목소리를 듣고 지역 발전을 위한 공약을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조현경 기자 cho@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정치권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