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 교수
매년 발생하는 자동차 화재는 5천 건이 넘는다. 차량 화재는 우선 90% 이상이 발화지점으로 엔진 쪽에 치우쳐 있다는 것이다. 즉 엔진은 항상 뜨겁고 과열될 경우 열원으로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배선도 집중돼 있어서 위험성은 항상 있다. 나머지 부분은 머플러 부분을 따라 열원이 있는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경우에 따라 차량 전체에 퍼져 있는 배선 부분에서 단락으로 발생한 불꽃이 화재로 커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구체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크게 나누어 차량 결함 쪽도 있다. 신차에 가까운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특별한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았는데도 화재가 발생한 경우이다. 자동차 메이커는 차량 결함으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하락과 판매 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차량 결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러 가지 변명을 할 수도 있다. 문제는 우리나라 법적 요건이 자동차의 결함을 운전자가 밝혀야 하는 구조여서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설사 잘 해서 국과수에서 원인을 파악하려 해도 차량 화재 자체가 워낙 높은 온도로 인해 완전히 녹아내릴 경우 발화 원인을 찾기 어려워 원인 불명으로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원인은 차량 관리적 원인이다. 당연히 노후화된 중고 차량의 경우 차량 관리적 원인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7~8년이 넘은 중고차가 되면 엔진의 오일이나 냉각수가 조금씩 줄어들거나 타 들어 가는 경우도 있고 조금씩 누유도 되어 먼지와 눌어 붙으면서 뜨거운 열원에 의해 가연성 물질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냉각수 부족이나 엔진오일 부족도 엔진을 과열시키는 요인이 되며, 특히 엔진룸은 차가웠다 뜨거웠다는 하는 반복으로 각종 배선은 열화가 되어 배선 피복이 딱딱해지면서 절연특성이 떨어지고 누전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항상 차량이 노후화되면 될수록 차량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도리어 차량 와관 세차보다도 더 중요한 부위가 바로 엔진룸 내부 청소다. 당연히 운전자가 직접 하기기 어려우니 단골 정비업소에 부탁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매년 자동차 화재로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누구 책임인가에 대한 논란도 많은 형국이다. 가장 애매모호한 경우가 4~5년 정도 된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책임 소재이다. 신차도 아니고 완전한 중고차도 아닌 시기이다. 또 한 가지 원인은 운전자가 차량 구입 후 임의로 설치하는 각종 전기전자 장치이다. 24시간 운영되는 영상 블랙박스도 문제가 될 수도 있고 원격 시동장치 등도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장치의 문제점이기보다는 임의로 배선을 차량에서 사용하는 경우 단락으로 인해 불꽃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전문적인 업소에서 이러한 작업을 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원인 중 역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차량 관리적 부분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할 때 전조현상도 중요한 확인 방법이다. 평상시와 달리 엔진의 온도가 높다거나 각종 이상이 자주 발생하면 하루속히 정비업소에서 원인을 파악해 대처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차량은 완벽한 이동수단은 아니다. 특히 예전과 달리 3만 개의 부품으로 이뤄진 인류 과학의 집합체이다. 이 중 35% 정도가 전기전자부품인 만큼 언제든지 조그마한 문제가 화재로 커질 수가 있어서 운전자는 항상 조심하고 살피는 습관이 중요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