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숨쉬는 높이는 최대 2m, 미세먼지 측정망 높이는 16m.’ 기본 설정부터 잘못된 인천시 미세먼지 대응의 단면이다.

18일 시와 인천보건환경연구원 등에 따르면 시 관리 도시대기측정소는 총 15곳이다. 이 중 14곳의 설치 높이가 환경부의 적정 기준을 벗어났다.

환경부의 지침에 대기오염 측정망 설치 높이는 사람이 생활하고 호흡하는 높이인 1.5~10m다. 하지만 시는 불가피한 경우 30m(개정 20m)까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는 예외 조항을 적용했다.

고잔 측정소의 설치 높이는 25m이고, 숭의(18.2m), 송림·부평·동춘·신흥(17.9m), 연희(17.8m), 계산(17.7m) 등이다. 나머지 측정소도 공원에 있는 논현(5.2m)를 제외하고는 10m 이상이다.

높은 곳에서 측정된 오염도는 시민이 체감하는 미세먼지 수준과 차이를 보인다. 환경부가 지난해 전국 10곳을 대상으로 측정소와 지상의 먼지농도를 비교한 결과, 최대 23%까지 차이가 났다.

측정값의 차이는 미세먼지 예보와 그에 따른 대응행동으로 이어져 시민의 생활과 직결된다.

지난해 인천에서는 미세먼지(PM10) 주의보 25회, 경보 4회가 발령됐다. 초미세먼지(PM2.5)의 경우 19회 주의보가 발령됐다. 권역별로 보면 영종권역이 9회로 가장 많았고, 서부(동구·서구·중구)가 8회로 뒤를 이었다. 두 권역에서는 최고농도가 각각 위험수준인 361㎍/㎥, 331㎍/㎥까지 나타났다. 이들 지역에는 공항과 항만시설이 입지해 있다. 인천은 선박·항공 등 비도로 이동오염원이 미세먼지 7.8%, 초미세먼지 18.55%의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다.

Untitled-1.jpg
동남부(남구·남동구·부평구·연수구·계양구)는 인근 고속도로와 산업단지 등 도심 환경에 따른 차량통행의 영향이 크다. 외곽순환도로나 경인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대형 차량 운행이 도심 내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권역 특성에 따라 저감 정책이 달라지기 때문에 현실에 맞는 농도측정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말이다.

인천발전연구원의 ‘인천지역 미세먼지 실태분석 및 정책 방안(2009)’에서는 권역별로 도심과 개발 사업이 진행되는 지역, 항만 주변지역 등을 구분해 미래 여건을 반영한 미세먼지 관리정책 수립이 제시됐다. 지난해 ‘미세먼지 오염원 평가사업’이 진행됐지만 정책 반영까지는 갈 길이 멀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부평구 부평동과 남구 숭의동 두 지역에 대해 미세먼지 원인 물질을 조사했다. 이달 중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지만 타 지역에 대한 추가 조사계획은 없는 상태다.

시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사람이 호흡하는 높이에 측정소를 설치하려면 장소를 마련하기도 어렵고, 국지적인 오염이 바로 반영될 수 있어 현실에도 맞지 않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