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원전)에서 대형 사고가 났을 때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손해배상 책임 상한을 없애는 방안을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추진키로 했다.

 지금은 부지당 약 5천억원으로 상한이 정해져 있어 초대형 사고가 나더라도 한수원이 추가로 배상할 의무가 없지만, 앞으로 원자력손해배상법을 개정해 상한을 없애자는 것이다.

 또 가칭 ‘원자력안전정보 공개 및 소통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원전 안전 관련 정보를 공개토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강정민 원안위원장은 24일 출입기자들과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18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체르노빌, 후쿠시마 원전사고 같은 (방사능) 대량 누출사고가 절대 일어나선 안 된다는 게 나의 소신"이라며 "원자력 안전 규제를 이전보다 훨씬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방사성 물질의 대량 방출, 원전 중대 사고 등에서 국민을 보호하는 게 원안위의 역할"이라며 "국민 안전을 지키는 데는 어떤 타협도 없다"며 안전 규제 강화를 재차 강조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올해 원자력손해배상법을 개정, 대규모 원전 사고시 사업자(한수원)의 무제한 책임 원칙을 원자력손해배상법에 적용하고 배상조치액을 대폭 상향해 나가는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한수원의 법정 손해배상 책임한도는 원전 부지당(고리·월성 등 총 5개) 약 5천억원으로 대형사고시 배상액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액인 약 75조원(작년 12월 기준)의 150분의 1 수준이다.

 원안위 관계자는 "손해배상은 사업자가 손해액을 책임지는 ‘무한책임’과 (손해액에) 한도를 주는 ‘유한책임’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며 "(법 개정을 통해) 유한책임에서 무한책임으로 전환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