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선거.jpg
▲ 사진 = 연합뉴스
경기도내 지역 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의 ‘전략 공천’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최근 도내 최대 3개 지역의 기초단체장을 전략공천하기로 했다. 자유한국당도 지방선거에서 전략공천 폭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당헌·당규를 개정했다.

이른바 ‘지명’(指名) 공천을 통한 경쟁력 우위를 노린 것으로 여야는 상대당 후보 전략에 대한 효과적 대응, 선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지역 등을 전략공천 지역 선정의 기조로 꼽는다. 중앙의 전략공천 움직임이 시작되자, 지역 내에서는 ‘내리꽂기’식 전략공천의 역효과를 우려하고 있다. 지역 정서를 읽지 못한 전략공천 실패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2010년 6·2 지방선거 성남시장 선거 당시 성남은 ‘부촌’으로 분류돼 한나라당 표가 많다는 분석이 압도적이었다. 한나라당은 이 곳에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비서관 및 여성부 차관을 지낸 황준기 후보를 전략공천했다. 하지만 공천에서 탈락한 이대엽 시장의 무소속 출마로 보수표가 분열되면서 민주당 이재명 현 시장에게 자리를 내줬다.

2014년 치러진 6·4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김경희 이천시장 후보의 낙마 사례가 대표적이다. 새누리당은 보수 텃밭으로 분류돼 온 이천시를 여성 전략공천지역으로 선정해 이천부시장과 경기개발연구원 사무처장을 지낸 김 후보를 전략공천했다.

당시 김 후보가 경기도 산하기관 임원직을 유지한 채 공천을 신청한 것을 두고 ‘배후설’, ‘무임승차설’까지 제기됐고, "중앙당이 기초단체장 무공천 약속을 어겼다"는 지역 내 반발도 거셌다. 결국 당 소속이던 조병돈 시장이 반발해 새정치민주연합(현 민주당)을 달고 출마해 당선됐다.

같은 시기 용인에서도 새정치민주연합의 여성 전략공천이 문제가 됐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용인시 참여예산위원장을 지낸 양해경 후보를 전략공천해 당내 표가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지역의 한 출마 예정자는 "무조건 선거 승리를 명분으로 내세워 전략공천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역 정서를 읽고 지역에서 인재를 육성할 수 있어야 한다. 전략공천은 지역 대표성을 상실시키는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남궁진 기자 why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전략공천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