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지난달 15일 인천상공회의소에서 유정복 시장이 ‘2018년도 시정 설명회’를 하고 있다. /사진 = 인천상공회의소 제공
인천시와 지역 정치권은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제2 도시를 표방하지만 정치적 ‘구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부산 따라잡기’ 선거용 캐치프레이즈에 인천의 발전 방안 개발과 실천적 모색이 함몰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서다. 부산은 다르다. 지역에 뿌리 깊은 파워그룹들이 수십 년간 부산 발전을 위한 논리적 근거를 생산해왔다. 수많은 NGO단체들도 그 논리를 토대로 움직여왔다. 하지만 인천의 파워그룹들은 그렇지 못하다. 지역 발전보다는 자신들의 역량을 과시하는 ‘이너 써클’ 형태의 모임이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니, 부산에 비해 파워가 밀린다는 얘기가 많다. <관련기사 3면>

대표적인 부산 파워그룹으로는 ㈔목요학술회와 부산항발전협의회, 부산글로벌포럼 등이 있다. 목요학술회는 오랜 역사를 자랑 한다. 1979년에 창립했으니 올해로 39년째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목요학술회는 설립과 동시에 부산의 정체성 확립에 나섰다. 광복과 한국전쟁, 산업화 이후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근로자들을 ‘부산 시민’이라는 이름으로 묶을 수 있는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학계와 문화예술계, 의료계, 언론계, 기업가 등 각계 전문가로 활동 중인 회원 80여 명이 부산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르노삼성자동차와 한국거래소, 김해 신공항 유치 등을 위해 일해왔다. 향후 한국 최초의 2030등록 엑스포 부산 유치와 지방분권, 해양수도 부산 지정 등을 위해 전력투구하고 있다.

목요학술회 창립 멤버인 서세욱 부산을가꾸는모임 대표는 "목요학술회는 ‘부산을 알아야 부산을 사랑합니다’라는 표어 아래 부산학을 만들고 부산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근거 마련과 함께 행동을 해왔다"며 "지방선거와 동시에 지방분권 개헌이 추진되는 만큼 국가 균형발전 측면에서 부산지역의 입지가 더욱 커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

부산항발전협의회는 2003년에 설립된 해양수산 관련 거버넌스 기구다. 부산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 188개 기관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 설립과 해양수산부 부활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지난해 대선 때는 해운·조선 정책조직 체계 일원화, 부산항만공사 경영투자 자율성 확보, 한국해운금융공사와 해사법원 설립 등을 공약으로 제안한 결과, 한국해양진흥공사 부산 유치를 실현시켰다.

박인호 부산항발전협의회 공동대표는 "부산항발전협의회는 그동안 부산이 서울과 다른 차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양을 특화시키기 위한 이슈를 발굴하고 정책을 선도하는 역할을 해왔다"며 "특히 올해는 지방선거가 있는 만큼 해양수도 법제화와 해양분권 추진을 위한 의지가 있는 인물을 선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글로벌포럼은 지역 경제인들과 학계 전문가 150여 명이 주축이 돼 2012년 만들어졌다. 이들은 ‘부산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집’을 발간하고 있는데, 올해 1월에는 ‘차기 부산시장에게 바라는 정책 제언’을 내놓았다. 이 책에는 부산 시민의 일원으로서 바라는 시장상과 서부산 글로벌시티 그랜드 플랜, 지역 대학 소속 전문가들이 제안한 도시재생·의과학·금융 인프라·신공항·리더십·지방정부 등에 관한 부산 발전 정책이 담겨 있다. 하지만 인천은 지역 의제를 선도할 파워그룹이 없다.

인천의 한 인사는 "지금이라도 선거용 구호 만들기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인천 발전을 위한 정책을 만드는 인천사람이 있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조현경 기자 cho@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파워그룹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