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락기.jpg
▲ 김락기 인천문화재단 인천역사문화센터장
연초부터 인천 역사를 둘러싼 논란이 있었다. 인천문화재단 강화역사문화센터의 이름을 인천역사문화센터로 바꾸고 사업의 대상을 강화에서 강화를 포함한 인천 전역으로 확대한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의 조치를 둘러싼 논란이다.

 시민단체인 인천경실련은 인천문화재단에서 역사분야를 관장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해 논란을 증폭시켰고, 지역 연구자 일부도 인천시사편찬위원회, 인천시립박물관과 업무 중복을 우려하며 부적절한 조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주장의 사실 여부를 떠나 인천의 역사를 둘러싼 관심이 커지고 바람직한 방향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기회라는 점에서 무척이나 반가운 현상이다. 앞으로도 지역사회의 각계각층에서 인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길 희망한다.

 하지만 논란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아쉬운 점이 많다. 인천을 대표하는 시민단체로서 입지를 굳혀온 인천경실련의 논평은 기초적인 사실관계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 많은 문화재단이 있고, 그 문화재단의 설립 근거가 되는 법이 ‘지역문화진흥법’이다. 지역문화진흥법에서는 지역문화를 해당 지역의 ‘문화유산, 문화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이와 관련된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이라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

 2004년 창립 이래 인천문화재단 조례 중 대상사업에는 ‘전통문화예술의 전승과 문화유산 발굴, 보존 및 활용’이 빠진 적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경기문화재단이나 전남문화관광재단 등에서는 산하에 문화재 발굴 법인을 두고 있고, 지역사 연구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에 따라 문화재단이 역사를 업무에서 배제할 수는 있지만, 역사를 포함하는 것이 있을 수 없는 일인 것은 아니다. 게다가 2017년 3월 1일 인천문화재단과 강화고려역사재단이 통합해 인천문화재단 강화역사문화센터가 설립됐을 때부터 이미 문화재단에는 역사 영역이 포함돼 있었다.

 왜 그때는 가만히 있다가 강화에서 인천으로 영역을 확대하는 시점에서야 문화재단의 역사 관장에 대한 비판 논평이 나왔는지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일을 하다 보면 사람이든 단체든 누구나 실수할 수 있다. 바로잡으려 노력하는 것은 흠이 아니다. 인천경실련의 활동 취지와 그간의 노력에 존경심을 갖고 적은 금액이나마 매달 후원하는 입장에서 이번 논란을 인천경실련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계기로 만들어 주길 바라는 마음이 크다.

 역사 연구자가 ‘기호일보’에 쓴 기고문에서는 센터의 명칭 변경에 무슨 다른 ‘숨은 의도’ 운운하며 급기야 문화재단의 출자금까지 언급했는데 이런 시각도 아쉽기는 마찬가지 다.

 역사는 사실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사료의 글자 하나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전모가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객관적 자세와 엄정한 검증은 연구자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그저 재미있는 옛날이야기를 하듯이 적당히 살 붙이고, 적당히 떼어내는 태도로는 사안의 본질에 접근조차 할 수 없다. 사실관계에 대한 확인도 없이 ‘탁상공론’이나 하는 과한 표현을 쓰는 것은 지역신문의 귀중한 지면에 얼룩을 묻히는 일일 뿐이다.

 센터의 명칭 변경에 무슨 ‘숨은 의도’가 있겠는가?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유치라는 경사를 맞아 인천의 역사 연구자들이 활발히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인천의 다양한 역사콘텐츠를 시민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시민들이 그 과정에서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성찰이 있을 뿐이다.

 어쨌든 이번 논란을 통해 지역사 연구 분야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확인한 만큼 센터의 과제는 분명해졌다. 기존의 지역사 연구기관·단체의 활동과 중복되지 않으면서 센터가 연구자와 손잡고 시민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발굴하고 뚝심 있게 추진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겸허한 자세를 바탕으로 일각의 오해를 풀기 위한 성의 있는 노력 역시 계속돼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