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은 정부나 경기도의 예산을 받아 운영하는 위수탁사업에 우선적으로 계약직원을 투입하고 있다. 일부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 예산도 함께 투입되는 이들 사업은 언제 종료될 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정규직을 대거 배치했다가는 재단이 낭패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사업들은 계약직원 중에서도 전문인력으로 분류되는 ‘프로젝트 계약직원’이 주로 포진해 가시적 성과가 빠르게 나타난다는 평이다. 대표적인 사업 중 하나가 경기상상캠퍼스(이하 상캠)다. 개관 2년 만에 연간 10만 여 명의 주민이 다녀갈 정도로 급성장했다. 이 때문에 계약직원 사이에서도 일부 사업은 ‘어쩔 수 없다’는 공감대도 있다.

지난해까지 재단 계약직원으로 있던 A씨는 "모든 사업을 정규직으로 구성할 수 없다는 건 안다. 일부(사업은) 계약직원 위주일 수밖에 없는 부분도 인정한다. 그렇다면 처우가 어떠한가. 해외에서는 전문인력이 일정기간 일할 수밖에 없을 때 좀 더 대우를 해 주는 것이 상식이다. 그런데 재단은 급여부터 가장 낮은 임금을 기준으로 삼는다"고 말했다. A씨가 퇴사할 때 받던 최종 월급여는 세전 170만, 세후 150만 원대였다.

A씨의 말처럼 재단은 매년 수차례 계약직원 공고를 내면서도 보수 수준은 한결같다. 수년째 ‘재단 6급 수준’(재단 정규직 신입은 6급부터 시작)으로 못박고 있다. ‘사업예산 및 경력에 따라 차등 적용’한다는 조건이 있지만 재단 6급 신입연봉은 지난해까지 1천800만 원(올해부터는 인상된 최저임금 반영)이었다.

여기에 ‘연 1천800만∼2천700만 원’이란 단서를 남겨 경력산정에 따라 최대 2천700만 원이 책정될 수도 있는 것처럼 고지하고 있지만, 계약직원들은 연봉 2천700만 원은 보지 못했다고 입을 모은다. 이 2천700만 원도 사실 재단 6급직원이 11년의 경력을 인정 받아야 하는 수준(재단 기본연봉 표)으로, 다시 말하면 신입 계약직원은 매년 다시 재계약을 11년간 이어 가야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상캠 예술감독을 맡았던 강원재 ‘땡땡은대학연구소’ 소장은 "재단은 결국 (채용을 위해)공고를 내던 평가를 도입하던 ‘싼 값’의 계약직원을 돌려막기 형식으로 쓰고 있다. 재단은 비정규직 간에 눈치 보며 경쟁케 하고, 불안을 조장해 조직을 경직시키는 폭력적인 일을 그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재단 관계자는 "초기 연봉이 너무 낮게 책정돼 있다는 점은 인정한다. 이는 개선해야 할 부분"이라면서도 "(재단)산하 다른 기관에 있는 계약직원 중에는 연봉 3천만 원대를 받기도 한다. 경력산정을 해 주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박노훈 기자 nhp@kihoilbo.co.kr

김재학 기자 kj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