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0.jpg
▲ 유정복 인천시장과 한국지엠 1차 협력업체 대표들이 19일 인천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제너럴모터스(GM)의 군산공장 폐쇄 결정에 따른 피해 최소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에 이어 글로벌GM의 2차 조치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언제 꺼질 줄 모르는 살얼음판이다. 하지만 인천지역사회는 정부의 입만 쳐다보고 있는 형국이다. 최악의 사태를 대비한 지역 차원의 ‘위기관리 능력’은 없는 느낌이 든다. 대신 인천시는 한국지엠의 ‘경영 정상화’만 믿고 ‘대정부 의견 전달 창구’를 자처한 모양새다.

 한국지엠의 ‘경영 정상화’냐, ‘2차 구조조정’이냐, ‘철수냐’를 놓고 사방에서 아우성들이지만 시는 낙관론 일변도다. 한국지엠 부평공장이 부분 축소 가동만 되도 인천에서만 당장 수만 명이 생계를 잃을 처지인데도 그렇다. <관련 기사 2·3면>

유정복 인천시장은 19일 한국지엠 1차 협력사 모임인 협신회와 가진 간담회에서 한국지엠 철수에 따른 대비책이 있냐는 협력업체의 질문에 "거기까지 가면 안 된다"며 답을 피했다.

유 시장은 한국GM과 협력업체, 노조, 경제단체 등과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중앙 정부에 적극 건의하겠다고 했지만 상반된 이해 관계자들의 입장을 중앙 정부에 어떻게 한 목소리로 시가 건의할지도 미지수로 남았다. 시는 당장 인천자동차발전협의회와 결의대회를 여는 등 ‘내 고장 자동차 팔아주기’ 붐을 조성하겠다고 했으나 협력사 세제 혜택 등 나머지 대안은 ‘검토’에 머물고 있다. 여기에 ‘범시민협의회’와 ‘차 팔아주기 운동’은 이미 2000년 대우자동차 부도 사태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벌인 정책이었고 별다른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반면, 정부는 이미 한국지엠의 철수까지 고려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지난 9일 국회 기획재정위 전체회의에서 "예단하기 쉽지 않지만 여러 가능성에 대해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선 실사 후 지원’이라는 원칙을 세우고 한국지엠 철수가 현실화하면 ▶협력업체 정책자금 원금 상환유예 및 만기 연장 ▶특례보증 확대 ▶소상공인 특례 보증 등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인천자동차발전협의회는 이달 중 한국지엠 사측과 노조, 협력업체와 학계 등이 모두 참여하는 ‘긴급 토론회’를 열겠다는 계획이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한국지엠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