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자동차산업은 ‘수직 계열화한 완성차 제조’에서 ‘수평으로 융합한 미래자동차 생산’으로 궤도를 수정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한국지엠 사태에서 보여주듯 지역의 자동차산업은 여전히 ‘완성차 업체’의 하청구조 늪에 빠져 있는 상태다.

그러다 보니, 미국 본사의 계획에 따라 수백 개의 지역 협력업체와 수십만 명의 생계가 좌지우지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물론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만만치 않다. 한국지엠이 지분구조를 획기적으로 양보하고 부평 공장에 신차를 배정한다 해도 자체 개발능력이 없는 자회사 공장은 단순한 생산기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GM본사가 한국지엠이 연속 적자를 기록한 최근 3년간 1조8천억 원의 R&D 비용을 챙겨간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 과정에서 한국지엠의 국내외 시장점유율은 1∼7%로 급격히 하락했다. 이러한 구조에서 벗어나야 지역 자동차산업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인천시는 8대 전략산업의 하나로 ‘첨단자동차’를 내세우며 전통 제조업과 뿌리산업의 구조고도화 전략을 세웠다. 하지만 안을 들여다 보면 첨단 전장(電裝) 부품산업 육성과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 조성, 전기자동차 보급이 전부다. 이대로 라면 2050년까지 생산액 70조 원과 수출 50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시의 목표는 ‘공염불’이 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와 수소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 자동차산업의 핵심은 ▶신기술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업종간 협업과 이를 도울 각종 정책과 제도다.

시가 자동차산업의 중장기 계획을 다시 짜려면 무엇보다도 ‘컨트롤타워 구축’이 시급하다. 기존 산·학·연·관 협의체를 활용해 인천을 어떻게 미래 자동차산업의 메카로 만들지 구체적인 밑그림부터 그려야 한다.

 단순 생산에 머물고 있는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의 기술개발과 구조고도화도 필수다. ‘자동차융합기술집적화센터’ 설립으로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할 수 있는 터를 닦아야 한다. 정부 지원을 받아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생산업체에서 소형 전기자동차 생산업체로 변신을 꾀하는 캠시스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미래 자동차산업은 분야가 다른 업종간 ‘수평적 협업’이 필수다.

 이미 세계 자동차업체들은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위해 인공지능(AI)을 연구하는 의료계 및 통신업계 등과 손잡은 지 오래다. 충남과 전북, 광주 등도 미래 자동차와 관련한 ‘이업종간 협업 사례’가 조금씩 늘고 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 스스로 미래 자동차산업을 준비할 기반을 지금부터 마련하지 않으면 타 시·도 및 경쟁국과의 격차는 점점 더 크게 벌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