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인천에서 5천여 명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를 입고 있지만 이를 관리감독하는 지자체 차원의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소식이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기준 11만9천893곳의 사업장에서 88만60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14명의 근로자가 산재를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안타까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사업장에서 작업 도중 몸을 상하거나 생명을 잃게 되면 본인은 말할 것도 없고 한 가정이 불행에 빠진다. 나아가 국가적으로도 크나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사업장이 밀집돼 있는 인천의 경우 여타 지역에 비해 산재 발생률이 높다.

 2016년 0.59%로 전국 광역단체 가운데 3위를, 수도권에서는 불명예스럽게도 수년간 ‘산재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도 시는 ‘산재관련 대책은 고용노동부가 맡는다’는 이유로 손을 놓고 있다 한다. 한심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지방자치 시대다. 우리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재는 우리의 노력으로 예방해야 한다. 산재예방에 지자체가 손을 놓는다는 얘기는 있을 수 없다. 산재예방 문제는 지역 근로자들의 근로환경과 조건에 관한 사안이다. 노동 당국과 근로자 각자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 지자체가 중앙 부처에 떠 넘길 사안이 따로 있다.

 시 관계자는 "안전관리 계획은 매년 법적으로 세우게 돼 있어 산재대책도 포함되기는 한다. 실제로 예방·관리 업무를 하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한다. 보다 적극적인 산재예방 행정이 요청된다.

 우리나라도 금년 중으로 5030클럽(인구 5천만 명 이상 국가 중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인 나라)반열에 오르게 될 경제 선진국이다. 이제는 ‘산재왕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하겠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경제 선진국이라 해도 의미가 없는 것이다. 그것은 근로자 산재 위에 쌓여진 경제실적이기 때문이다.

 산재 발생 제로(zero)를 달성, 완전 무재해 사업장에는 이르지 못한다 하더라도 가까이는 갈 수 있다고 본다. 어느 사업장을 막론하고 사업현장 도처에 산재발생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산재 없는 사업장 조성이야말로 우리의 이상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