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인천시 연수구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전경.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연세대학교는 송도 5·7공구 터가 매립되기 전에 ‘최초 수용자(Early Adopter)’ 적용을 받아 최상의 혜택을 누리며 송도국제도시 입성을 선점했다. 당시 고려대와 서강대도 덩달아 입주를 타진했다. 인하대와 인천대도 손을 놓고 있을 수만 없었다. ‘지역 대학 홀대론’을 내세웠고, 전략은 먹혀 들었다. 그 사이 경제자유구역은 ‘경제특구’에서 ‘대학촌’으로 변해갔다. <관련 기사 3·5면>

27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2006년 1월 인천시는 명문대 유치에 정신이 팔려 매립 중인 송도 5·7공구와 공유수면이었던 11공구 등 총 181만여㎡ 규모의 땅을 연세대에 주기로 확약했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60%, 축구장 250여 개가 들어설 수 있는 크기였다. 땅 값도 3.3㎡당 약 50만 원에 불과했다. 당시 조성원가는 3.3㎡당 150만 원이었다. 강의실과 기숙사 등 각종 시설 조성도 시의 몫이었다. 이후 지난 10년간 연세대 송도국제화복합단지를 조성하는데 투입된 돈은 3조2천억 원이다.

인천경제청은 연세대가 경제구역 초기 미성숙한 단계에서 위험부담을 안고 사업을 추진하는 만큼 최초 수용자 개념을 적용해 인센티브를 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인하대와 인천대 등은 즉각 연세대와 똑같은 조건으로 토지를 제공하고 건물을 지어달라고 요구했다. 지역 대학 홀대론과 연대 특혜론(‘8천억 지원설’)은 들불처럼 번졌다. 인천경제청은 인하대를 선두로 인천대, 재능대, 고려대, 홍익대, 서강대 등의 요구를 검토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인천경제청은 개발계획 승인권자인 옛 재정경제부 핑계를 대며 버티면서도 각 대학들과 물밑 협상을 벌였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도 움직였다. 조 회장은 인하대 송도 이전에 쐐기를 박기 위해 2007년 9월 5일 헬기를 타고 인천경제청을 방문해 이환균 전 청장과 독대했다.

닷새 뒤 안상수 전 시장은 홍승용 인하대 전 총장과 만나 인하대에 송도 5·7공구와 11공구에 총 66만㎡ 규모의 땅을 주기로 최종 합의했다. 토지 제공 조건도, 개발방식도 연세대와 같았다. 1단계로 5공구에 23만1천㎡ 규모의 대학 캠퍼스와 9만9천㎡ 규모의 R&D 시설을 건립하고, 2단계로는 11공구 33만㎡ 부지에 외국 유명대학 캠퍼스와 R&D시설을 추가로 조성하기로 했다. 세계적 기업인 제너럴일렉트닉(GE)도 유치해 5·7공구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힘 쏟겠다고 했다.

10년이 지난 지금 인하대 5공구 터는 기업이 차지했다. 11공구는 지난해 토지대금 납부 문제로 온갖 구설수를 탔다. 2003년 2월 송도 4공구 6블록(51만여 ㎡) 이전을 확정한 인천대 역시 2013년 시와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지원에 관한 협약’을 맺고 송도 11공구 땅 33만여㎡를 받기로 했다. 여기에 대토(代土)가 가능한 인천전문대 재배치 부지 22만여 ㎡와 인천대 인근 4공구 유수지 10만여㎡ 등 33만여㎡의 터를 4공구 혹은 11공구 쪽에 내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환균 전 청장은 "경제구역에 캠퍼스가 아니라 석·박사 중심의 세계적 연구소 조성이 본래 구상이었지만 연세대가 큰 부지를 차지하면서 캠퍼스 단위로 들어오기 시작했다"고 말한 적이 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연세대학교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