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홀로 외로운 죽음을 맞는 ‘고독사’ 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고독사에 대처하는 사회적 안전망 구축과 매뉴얼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도 고독사 사회로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 고독사 통계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과거 고독사는 홀몸노인에게 집중됐지만 최근엔 저소득층이나 고소득층, 젊은층이나 노년층을 가리지 않고 일어난다. 1인 가구의 증가 때문이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역 내 고독사 발생 건수를 파악한 자료는 따로 없고, 일반적으로 무연고 사망자 통계를 바탕으로 추산하는데 보건복지부의 자료를 보면 인천의 경우 2014년 94건, 2015년 137건, 2016년 160건, 지난해 180건 등으로 증가 추세다.

 고독사는 고령화 문제와 함께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고 명예퇴직 등의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수명은 증가하는데 퇴직의 시기는 점차 빨라지면서 은퇴 후 자녀들에게 부담을 주기 싫어 혼자 지내거나, 직장으로 인해 타지에서 생활하는 청년, 홀로 지내는 기러기 아빠 등이 증가하면서 1인가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 연령에 국한된 문제라고 치부하기가 어렵게 됐다.

이처럼 고독사는 노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장년층과 청년층 역시 위험에 노출돼 있지만, 예방정책이 홀몸노인들에게 집중돼 있어 개선책 마련이 요구된다. 인천시의 경우 지난해 4월 ‘인천시 홀로 사는 노인 고독사 예방 및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홀몸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돌봄 기본서비스를 비롯해 고독사 예방을 위해 각종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지원 범위가 노인으로 한정돼 있기는 마찬가지다.

 고독사의 문제는 앞으로 지역사회가 안고 풀어가야 할 숙제이다. 고위험 단독가구를 발굴하고 맞춤형 복지서비스와 지속적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탄탄한 지역사회의 복지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가장 좋은 해결책은 사회에서 단절된 채 살아가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므로 은퇴 후에도, 홀로 살아도 타인과 교류하며 살아갈 수 있는 방도를 마련하는 것이 될 것이다. 지역사회와 유관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고독사 및 고독한 생을 사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할 때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