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출범 당시 경영 합리화를 위한 공사공단 통폐합으로 ‘강화고려역사재단’이 인천문화재단 내 ‘강화역사문화센터’로 전환됐고, 최근 명칭을 ‘인천역사문화센터’로 또다시 변경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의견 수렴은 전혀 없었고 오로지 인천문화재단이 재단 이사회를 통해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흔적들이 여기저기에서 나타나고 있어 밀실행정의 표본이라는 비아냥도 따른다. 더욱이 인천시의회의 승인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인천시의회는 2018년 1월 임시회에서 강화 역사를 조사 연구하는 원래의 조례대로 환원할 것을 주문했다.

당시 인천문화재단 측이 제시한 명칭 변경 사유는 강화도에 설치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와 업무 중복에 있었지만, 이것 역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측이 "서울·인천·경기도 전역의 고고유적 발굴을 담당하는 만큼 설령 같은 주제의 업무를 진행해도 도출 방식은 서로 다르다는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이것마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다. 결과적으로 인천시의회에서 지적한 사항들이 모두 사실로 드러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천시는 시의회의 요구에 어떤 결과도 제시하지 않은 채, 인천역사문화센터에 ‘2018년 인천시 문화유산 중장기 발전계획’을 용역 의뢰했다. 저간의 사정이 어떻게 반전됐는지 알 수 없지만, 이쯤 되면 시 집행부는 의회를 완전히 무시한 처사일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그 문건에는 ‘인천시사편찬사업의 발전 방안’이 포함돼 있어 인천시사편찬위원회 위원들의 불만을 가져오게 했다.

그간 인천시사편찬위원회가 열악한 처지에서나마 이룩했던 업적을 간과했을 뿐만 아니라 ‘신설된’ 센터가 그러한 주제를 다뤄도 되는 것인지 의문이며 나아가 과연 그러한 역할을 수행이나 할 수 있을지 우려되기 때문이다. 시민단체 및 지역 학계가 이러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나아가 인천사 정립의 주체는 이미 50여 년 전 설립된 ‘시사편찬위원회’에 있으므로 이 기관의 위상 정립과 운영 확대를 요청하는 ‘의견서’까지 제시한 상태이다. 문제 해결의 관건은 무엇보다 오랜 세월 인천 사회의 검증을 통해 이어져 온 기관의 ‘역사성’과 ‘정통성’이다. 조속한 시일 내에 시의 진정성 있는 자세와 시민 토론회를 통해 합리적인 방안이 도출돼야 하리라 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