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00.jpg
▲ 사진 = 연합뉴스
경기도가 정책적으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막상 사회적문제로 대두됐던 버스기사 근무여건 개선은 손을 놓은 모습이다. 장시간 운전하는 기사들에게 휴식시간을 제공한다며 주요회차거점에 쉼터를 마련하기로 해놓고 이제와서는 예산상의 문제를 들어 공용화장실을 쉼터로 대체해 운영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7월 9일 경부고속도로 용인 부근에서 운전기사의 졸음 운전으로 광역급행버스가 앞차를 추돌하면서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자 급하게 운전기사 처우개선 마련에 돌입했다. 도는 같은 달 26일 도 주재로 31개 시군의 버스담당자 및 광역버스 운송업체, 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 등과 회의를 통해 기사들의 처우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도가 당시 제시한 시스템 상의 대책은 광역버스 2천400대에 전방추돌위험이나 차선이탈 시 경보와 진동을 울리는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를 설치하는 것이었다. 이와 함께 운전자들의 휴게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울시내 주요 거점지 5개소(강남역·서울역·잠실역·사당역·강변역)를 운행하는 125대의 광역버스 운전기사들을 위해 운전자 쉼터를 운영키로 했다. 또 운행시간이 2시간 40분 이상인 광역버스 노선의 경우 회차지에 정차공간을 마련해 운전자를 교대, 휴게시간을 부여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도가 개선방안을 마련한지 9개월이 흘렀지만 광역버스 운전기사들에 대한 휴식 제공은 지난해 7월 발생한 사고 이전과 전혀 달라지지 않으면서 운전자는 물론 승객들의 안전이 여전히 위협받고 있다.

우선 도가 제시했던 5개 거점지의 운전자 쉼터 마련은 단 한 곳도 이뤄지지 않았다. 잠실역의 경우에만 경기도의 정책과 관계없이 지하환승센터가 설치돼 있어 그나마 기사들이 휴식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고 있을 뿐 나머지 지역은 쉼터 지정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그나마 도가 광역버스 기사들에게 제공한 것은 회차지 인근 공용화장실 안내에 불과하다.

2시간 40분 이상 걸리는 노선의 경우 회차지에 버스기사를 배치해 교대 운전하겠다는 계획도 인력부족과 정차공간 미확보로 인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너무 많은 예산이 필요해 현재로서는 기사들의 화장실 이용 편의라도 제공하고자 가까운 시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며 "현재의 운영체계로는 획기적으로 기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할 수 없어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광역버스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