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4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포함된 대북특별사절단을 발표했다. 우리 외교와 안보를 책임지고 있는 두 사람을 전면에 내세운 것이어서 정치적 무게감과 함께 그 성과와 결과물이 기대된다. 정부의 대북 특사단 파견은 앞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제1부부장이 김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남한 데 대한 답방 차원으로 이번 대북특사단 구성에 있어 이에 상응하는 격식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북전략통인 서 국정원장과 대미 관계 핵심 역할을 해 온 정 국가안보실장을 대북특사로 결정한 데는 미국과 긴밀히 협의하면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꼬인 매듭을 주도적으로 풀어내 성과를 내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적극적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 국정원장은 2000년 1차 남북정상회담과 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에 관여했고 북한 고위당국자들과 협상을 해온 경험이 많은 대북전략가이자 전문가이다.

 이번 김여정과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의 방남 과정에서도 남측 파트너로 협의를 해왔다. 정 실장은 백악관 핵심라인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인사로, 북미 대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문 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 실장은 이번 방북에서 김 위원장의 의중을 면밀히 파악해 이를 미국 당국자들과 공유하고 북미 대화를 중재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북특사 파견은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수순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되기 위한 전제와 그 과정들이 녹록지 않아 보인다. 특히 북미관계가 호전되지 않고는 남북 정상회담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성사의 관건이 북미 대화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대북 특사의 임무는 북한과 미국을 협상 테이블로 앉히기 위한 명분과 실리의 접점을 찾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김 위원장으로부터 비핵화 논의에 관한 언급이 있어야 하고, 최소한 핵과 미사일 실험 중단이나 유보 발언을 이끌어내야 한다. 북핵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법을 찾지 못한다면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조성된 남북 대화 국면도 한순간에 대결 국면으로 되돌아 갈 수밖에 없다. 한미 정부 당국은 공조의 틀 안에서 비핵화에 대한 진전을 이루고 나아가 북미 대화,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될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