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선제적 대응으로 시민안전을 확보하는 등 ‘감염병 청정지역 인천!’을 만든다. 2015년 호흡기 전파 감염병(메르스) 사태 이후 감염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인식변화를 가져왔다.

이 때문에 보건당국은 방역체계 개편과 법령 강화, 정부와 지자체 역할, 상호 공조관계를 명확히 하고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고 있다.

인천은 공항·항만이 있어 해외 유입 감염병 전략적 요충지로서 보건안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감염병 발생 시 최단거리에서 대응해 전파를 막고 위험으로부터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

14.jpg
▲ 2017 감염병관리 전국컨퍼런스 참석자들이 방역복을 입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인천시 제공>
# 대한민국 관문 인천, 감염병 발 빠른 역학조사 필요

인천국제공항은 지난 1월 제2여객터미널 확장으로 연간 여객처리능력이 7천200만 명으로 늘어났다. 메르스 발생지 중동 항공기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하루 2천 명 이상 중동에서 입국하고 있다. 특히 메르스 신고환자는 올해 2월 기준 전국 대응환자 55명으로 시는 11명(20%)을 격리병상 의료기관 등과 협업해 24시간 위기관리 대응을 맡고 있다.

 지난해 메르스 의심환자 총 31명 중 외국인 10명(32%), 타 시·도 15명(49%), 인천 5명(17%) 순이었다. 시는 해외 감염병 관문인 지정학적 특성과 인천·서울·경기 인구 집중, 의료기관 밀집으로 인해 전국 법정감염병 40% 이상 발생하고 있다.

매년 해외 유입 감염병 63% 이상 대응하고 있다. 감염병은 지역과 국경, 시간 경계가 없는 급속한 변화 흐름에서 빠르게 대응하지 않으면 미래 제2의 메르스 사태가 벌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 우리나라는 6년을 주기로 호흡기 감염병이 유행했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H1N1), 2015년 메르스(MERS)가 발생했다. 인수공통감염병인 동물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가 매년 발생해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AI는 중국에서 유전자 변이로 인해 사람에게 감염돼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주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전자 변이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호흡기 전파 환자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 역학조사가 필요하다. 최근 평창동계올림픽 직원과 자원봉사자, 안전요원, 선수 등 324여 명이 집단으로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됐다. 선수도(4명) 있었지만 범정부 차원 관계기관과 함께 즉각 대응해 잘 마무리 할 수 있었다.

 ‘감염병 역학조사’란 긴박한 상황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방역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다. 원인 규명이 늦어질 경우 전파 및 확산이 시작돼 피해를 줄이기 어렵다. 지난해 6월 3일부터 카파베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반코마이신 내성황색포도알균(VRSA), C형 간염이 전수감염병으로 전환돼 1천85건 신규 업무와 현장 역학조사량이 대폭 증가했다.

# 노로바이러스 등 집단 발생에 따른 즉각대응반 운영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은 공중위생 수준 향상과 방역성과 등 산발적 사례는 많이 감소했으나 학교 및 직장 등 급식 증가로 인한 집단 발생은 늘고 있는 상황이다. 2016년 발생 건수 총 549건으로, 지난 5년(2011~2015년) 평균(323건)과 비교해 70% 증가했다. 학교 등 단체급식과 외식으로 인한 발생비율은 전체의 87.7%를 차지했다. 2015년 69.2%에서 대폭 늘었다.

 2016년 집단 발생 중 원인병원체가 규명된 건은 총 311건(56.6%)으로 노로바이러스 100건(32.2%), 쿠도아충 44건(14.1%), 병원성 대장균 37건(11.9%) 순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는 장관 감염증으로 2010년 12월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돼 시는 표본감시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103개(인천 9개 기관) 의료기관에서 표본감시 중이다. 감염병 발생수준 및 경향 변동양상(유행 징후 조기 감지), 고위험군을 파악하고 신속한 대응하고 있다. 이처럼 감염병 담당자는 대·소규모 집단 감염병이 발생 했을 경우 역학조사 및 관리 등으로 감염병 전파방지의 신속한 대응으로 지역사회 확산 방지하고 있다.

14-1.jpg
▲ 감염병 대응 훈련 모습. <인천시 제공>
# 감염병 전문인력 체계 강화

지난해 11월 16~17일 영종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2017년 감염병 관리 전국 컨퍼런스’를 개최해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3개 검역소와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등 관련 학계 전문가 1천200여 명이 참여했다. 인천은 수도권 입구가 집중돼 있고 북한과 인접해 인구가 계속 유입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 경제적 불평등과 같은 감염병 관리에 불리한 요인들이 있는 지역으로 북한으로부터 생물 무기에 대비한 예비병상 확보와 인천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공중보건의(역학조사관) 증원 배치 등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야 하는 곳이다.

 감염병은 종류에 따라 신고 접수 뒤 지체 없이 또는 3일 내 역학조사를 시작해야 한다. 환자, 보호자 등 필요 시 접촉자 및 담당의사 면접은 물론 환경조사 및 검체 채취, 확진 진단검사, 전문가 자문 등 다각적인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기피 업무로 분류된다. 이 때문에 잦은 담당자 교체가 있어 효과적인 대응과 전문인력의 업무 연속성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노로바이러스 등 장관감염증 뿐만 아니라 과거 사라졌던 감염병이 재등장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세계화 등 새로운 감염병이 국내 출현하고 있어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역학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조기 감염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방역관리가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으나 감염병 전담요원 부족과 초기 역학조사 미비로 감염병 유행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명확한 방역조치 및 재발방지 대책을 세울 수 없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는 감염병 담당 일정부문 정원을 의사로 뽑아 적정수준 의사 역학조사관을 확보하는데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