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에서 아동·청소년들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학교폭력이 날로 진화하고 있지만 교육 당국의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사이버 괴롭힘은 과거 온라인에서 진행됐지만 최근 휴대전화를 소지한 아동·청소년이 늘면서 SNS로 이뤄지고 있다. 이는 물리적 폭력을 가하지 않고 손쉽게 휴대전화를 이용해 왕따를 시키려는 학생을 괴롭힐 수 있기 때문이다.

 도교육청이 발표한 ‘2017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서 학교폭력 피해 유형별 비율이 언어폭력 35.6%, 집단따돌림 16.5%에 이어 사이버 괴롭힘이 11.5%를 차지, 세 번째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사이버 상의 폭력 형태는 단체방에서 특정 학생에게 욕설을 퍼붓는 ‘떼카’, 왕따시키는 ‘방폭’, 집단 따돌림 피해자를 끊임없이 단체방으로 불러내는 ‘카톡 감옥’ 등 여러 유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학생들 사이에서 SNS를 이용해 특정 학생을 집단 따돌림하는 왕따문화가 성행하고 있지만 학부모들은 SNS 폭력 실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자녀가 피해를 입어도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교육당국의 사이버 학교폭력 대책은 안이하기만 하다. 교육부는 올해 도내 사이버 폭력 예방 선도학교 30곳을 지정하는 데 그쳤고, 이마저도 한 해 예산이 학교당 180만 원에 불과해 이 같은 유형의 집단따돌림 예방에는 속수무책인 실정이다. 피해를 입은 학생은 고통에 시달리다가 자살을 하거나, 가해 학생에게 흉기를 휘두르기도 하고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전학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더욱이 가해 학생들은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이 무감각하고 일상화돼 아무런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도교육청은 별 문제 없이 운영하고 있다는 식의 안일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학교에서 학생들의 언어 생활이나 SNS 에티켓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관련 교육을 강화해야 함은 물론, 더불어 살아가는 공존의 윤리관을 가르쳐야 한다. 휴대전화의 확대 보급이 대세인 상황에서 처벌 만능주의로는 근절하기 어렵다. 교육당국은 SNS 폭력이 학교문화에 심각한 부작용을 드러내고 있는 현실을 더 이상 간과해선 안된다. 학교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가 참여해 캠페인과 단속을 병행해 실시하는 등 범국가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