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초등 돌봄교실을 대폭 확대하는 대책을 내놓긴 했지만 여전히 수많은 맞벌이 부부들이 돌봄교실 대기 상태에 머물러 있어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도교육청은 최근 도내 택지지구 개발 및 신도시 확대로 인해 돌봄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올해 안에 총 160개 돌봄교실을 확대하고 초등보육전담사 160명도 정규직으로 추가 채용하는 내용의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해소할 수 있는 수요는 3천500명 정도에 불과해 지난해 대기자 수 기준을 적용하면 700여 명이 대책의 혜택을 여전히 누리지 못하는 셈이다.

 교육당국은 육아와 일의 양립이 가능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하지만 정작 처한 현실은 녹록지 않다. 초등돌봄교실은 저소득층과 맞벌이 가정의 자녀를 위해 방과 후 학교에 마련된 교실에서 학생들을 돌봐주는 시스템이다.

 수업이 끝난 뒤에도 저학년 아이들이 학교 안에서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다. 하지만 수용능력 부족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어 학부모들은 아이들을 학원에 보내거나 직접 육아 도우미를 고용하는 등 사설에 기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학부모, 특히 맞벌이하는 부모들은 아이가 학교에 오래 있길 원한다. 학교에 있는 것이 ‘학원 뺑뺑이’보다 안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은 학원이 없으면 아이를 키울 수 없는 구조다. 문제는 수요는 증가한 반면 되레 공급은 지지부진하다는 점이다.

교육당국은 학생들을 모두 수용하도록 요구하고 있지만, 일선 교육청과 학교는 돌봄교사 채용, 시설 증설, 학생 안전 등의 이유로 돌봄교실 확충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추가로 돌봄교실을 설치하려면 공사도 해야 하고,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데 학교 안에 남는 공간도 없다. 더욱이 학령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어 당장 1~2년 앞의 수요만 보고 돌봄교실을 증설하기도 어렵다.

 더 이상 학교에만 부담을 지울 일이 아니다. 돌봄교실 확충을 위한 시설개선과 안전 등 제반 문제들을 학교만의 부담으로 남기지 말고 교육청, 지자체 등이 함께 해결 방안을 공유할 수 있는 지역협력체제 구축에 나서야 한다.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돌봄교실이 정착해야 ‘사교육비 부담 해소와 잠재된 여성인력 활용 극대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