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6·13 지방선거 광역의원과 기초의원 정원을 각각 27명, 29명 늘리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확정했다. 지방의회가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지방자치 발전에 기여한다면 의원 숫자가 좀 늘어난다고 그리 탓할 일은 아닐 것이다. 문제는 그동안 지방의원들이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해내지 못한 데다, 각종 일탈행위와 사건 사고에 연루되는 등 함량 미달이라는 지적과 함께 지방의회 무용론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는 데 있다.

지방의회는 ‘지방자치의 꽃’이라고도 불린다. 의회는 지자체의 장이 민의를 무시하고 부적절한 처신을 한다면 이를 통제·견제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1991년 지방자치 부활 이후 지금까지도 이를 수행할 의원의 능력과 자질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번 지방선거도 마찬가지다. 예비후보로 등록한 인물들의 면면을 보며, 남들이 다 깜냥이 안 된다고 손가락질하는데도 너도 나도 의원이 돼보겠다고 출사표를 던지고 있어 유권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후보자들이 국민을 위해 봉사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고마운 일이지만 제사에는 맘이 없고 잿밥에만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앞선다. 지방의원직은 벼슬자리가 아니다. 자신을 뽑아준 주민들이 지자체 행정을 잘 감시감독하도록 맡긴 주민의 대리인이다. 따라서 지방의원 후보자들은 적어도 도덕적으로 청렴하고 스스로 전문적인 역량을 갖췄는지 자신부터 검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주민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당초 지방의원은 무보수 명예직으로 출발했으나 지금은 직업군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보수를 받는 자체는 나무랄 일이 아니다. 다만 의원이라는 자리를 차지했으면 그만큼 일을 해야 옳다. 지방자치라는 미명 아래 함량미달의 후보들이 더 이상 활개치게 놔둬서는 안 된다.

지방의원은 모름지기 빛과 소금처럼 지역에서 봉사자 역할을 다해야 한다. 덕이 없고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아예 선거판에 낄 생각을 말아야 한다. 아직 공천 작업이 시작되지 않아 옥석을 가려내기는 어렵지만 감량이 안 되는 사람은 본인 자신은 물론, 지역을 위해서도 아예 접는 게 낫다. 이번 지방선거야 말로 ‘어중이떠중이’가 아닌 진정한 지역일꾼이 나서주길 유권자는 바라고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