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업 ‘페이스북’이 5천여만 명의 이용자 정보 유출 파문에 휩싸이며 19일 하루에만 주가가 6.8%나 폭락하고, 시가 총액으로 약 39조 원이 사라졌다. 이번 사태의 본질은 두 가지 측면에서 봐야 한다.

 첫째, 페이스북은 서비스 제공 대가로 취득한 고객 정보를 외부 기관에 유출했다. 페이스북의 사업 모델 자체가 이용자들의 데이터를 팔아 (기업을 위한 맞춤형 광고) 수익을 올리는 구조인지라, 기업의 존재 가치와 연속성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유출된 정보가 제3자에 의해 아무런 통제 없이 무단으로 ‘정치공작 및 여론공작’을 위해 악용됐다.

특히나 미국민들이 분노하는 것은 2016년 미 대선 당시 트럼프 후보 측 컨설팅 업체인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에 이용자들의 개인 성향 정보가 유출이 됐고, 이를 활용한 빅데이터가 ‘정치 심리전’ 자료로 활용됐다는 점이다.

 실제로 상대방 후보였던 힐러리는 페이스북 상에서 ‘테러단체 IS와의 무기거래 및 관련성, 이메일 유출 파문’과 관련된 가짜 뉴스들로 타격을 입었다. 개인 정보를 보호하려면 ‘정보의 관리 및 사용이 보수적인 관점’에서 이뤄져야 한다. 목적 이외의 정보 수집을 금하고, 정보의 질적 적정성을 유지하며, 이용자 동의 없는 정보의 제3자 제공을 엄격히 금지해야 한다.

하지만 페이스북 사태는 이러한 원칙도 얼마든지 손쉽게 무력화될 수 있는 지 여실히 보여줬다. 이미 정보의 수집과 활용이 광범위해지고 고도로 분석된 자료를 통해 새로운 가치는 물론 예상치 못한 가치까지 창출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대’로 진입했다.

 이처럼 복잡다단한 상황에선 ‘어떻게 정보가 재처리되고 가공되는 지’를 추적하기가 어렵다. 당연히 정보를 통제할 기술적 수단도 마땅치 않았을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개인 정보가 기술 발전의 희생양이 되도록 방치할 순 없다. 빅데이터 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중지를 모아야만 한다. 일각에선 블록체인이 거래 기록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기술적 특성이 있는 바, SNS 내의 정보 흐름을 추적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아이디어들을 모아 정부와 학계, 업계는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