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김포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지난 2일 김포 구제역 발생농장 역학 관련 농장에서 항원이 추가 검출됨에 따라 확산방지에 비상이 결렸다는 소식이다. 무엇보다 초동대응이 중요함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더 이상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기 전에 방역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인천시 서구 검단과 강화는 이번 구제역 발생지인 김포와 인접해 있다. 우제류 사육농가가 곳곳에 산재해 있다. 자칫 방역 소홀로 구제역 청정지역이 뚫리기라도 한다면 큰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구제역이 발생할 때마다 기르던 가축을 살처분하곤 했던 아픈 기억이 있다. 강화에 국한해서만 봐도 지난 2010년 3만1천 마리, 2011년 1만2천 마리, 2015년 3천300마리를 살처분해야 했다.

구제역으로 인해 다시는 아픈 전철을 밟지 않아야 하겠다. 인천시와 강화군은 구제역 확산 방지책 일환으로 서구와 계양구에 총 4곳의 거점 소독시설을 추가 설치하고, 강화도로 이어지는 강화대교와 초지대교 2곳에도 거점소독시설을 운영 중에 있다.

출입 차량과 축산 농가, 도축장 내외부 등에 대한 빈틈없는 철저한 소독이 이뤄져야 하겠다.

당국은 당초 농장 간 생축 이동 금지 기간을 4월 9일까지에서 오는 23일까지 연장했다. 이로 인해 12일부터 열릴 예정이던 전국 민속 소싸움대회인 달성 소싸움대회마저 연기시켰다 한다.

문제는 백신 접종 이후 항체가 생기기까지 약 2주가 필요하고, 보다 확실한 예방을 위해서는 2차 백신 접종까지 완료돼야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이달까지는 구제역 방역에 마음을 놓을 수 없다는 점이다.

향후 축산농가의 구제역 예방접종을 강화하고 차단 방역관리를 보다 철저히 해 구제역 확산을 조속한 시일 내에 종식시키겠다는 관계자의 말을 믿는다. 하지만 구제역 조기 종식은 지자체 공무원들과 농림축산 당국 관계자들의 몫만은 아니다. 온 시민들이 당국에서 구하는 협조사항에 따르는 것도 구제역을 조기에 퇴치하는 길이다. 구제역과 같은 가축전염병은 사후 수습을 아무리 신속히 한다 해도 사전 예방을 철저히 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