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한국지엠 부평공장. /사진 = 기호일보 DB
자금이 바닥난 한국지엠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동반한 법정관리를 준비하고 있다. 미국 본사(GM)의 군산공장 폐쇄와 희망퇴직 신청, 자금 수혈을 통한 ‘플랜 A’ 자구책이 수개월간 성과를 내지 못하자 부도를 막기 위한 ‘플랜 B’를 가동했다는 분석이다.

15일 한국지엠 등에 따르면 GM이사회는 지난 2월 9일 군산공장 폐쇄를 결정한 뒤 4월 20일까지 3차에 걸쳐 노사교섭 타결 및 경영 정상화 방안 마련을 위한 마감 시한을 뒀다.

동시에 GM 고위 임원들은 정부와 한국지엠 2대 주주인 산업은행에 5천100억 원의 출자와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등을 요청했다.

하지만 2월 7일부터 지난 12일까지 8차례 진행된 올해 임금협상은 노사간 입장차이로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총파업’이라는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와 있다.

그 사이 GM 총괄사장이 제시한 자구안 마련 시한은 닷새 앞으로 다가왔다. 군산공상 폐쇄와 인건비 삭감 등에서 이견이 큰 노사는 20일까지도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GM본사가 정부에 요구한 자금 수혈과 외투 지정도 차질을 빚고 있다. 정부가 ‘선(先) 실사, 후(後) 지원 여부 결정’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산은은 한국지엠의 재무·회계 실사를 20일을 훌쩍 넘긴 5월 초까지 벌일 계획이다. 특히 지난 13일 GM과 산은의 협상에서 한국지엠 출자 전후 지분율 유지(‘비토권’ 확보)를 주장한 산은의 요구는 거부된 것으로 전해졌다.

GM이 채무 3조 원을 출자로 전환할 때 산은은 반드시 지분율 15% 이상을 확보해 향후 주주총회에서 생산시설 처분 등을 막겠다는 입장인데, GM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기존 출자계획도 철회할 수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GM이 법정관리 카드를 꺼낸 것은 정부와 노조에 대한 최후통첩의 측면보다 현금 고갈에 따른 회사의 파산부터 막아보자는 현실적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지엠이 최근 4년간 3조 원의 적자를 내고 지난해만 6천억 원의 영업손실을 봤지만 30만 명의 직·간접 고용을 감안하면 법원은 청산(파산·매각) 보다 기업회생에 무게를 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지엠 관계자는 "법정관리 시 매각도 어렵고 정부가 회생을 주도할 것으로도 보이지 않는다"며 "향후 2년간 GM본사가 주도하는 혹독한 구조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한국지엠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