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이해가 안 된다. 반대하는 사실 자체가 아니라 반대 논리를 도무지 소화할 수가 없다.

 밑도 끝도 없이 무슨 얘기냐고 의아해할 지 모르겠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구간 가칭 111역(흥덕역) 얘기다. 그간의 흥덕역 추진 과정은 논외로 하겠다. 다만 흥덕역 설치를 주장하는 지역 주민들의 요구가 전형적인 지역이기주의의 한 형태인 ‘핌피’(PIMFY)인지가 논점이다.

 지난달 13일 벌어진 일이다. 오전 10시부터 제223회 용인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가 예정돼 있었다. 하지만 오전 9시30분부터 흥덕지구 주민 100여 명이 본회의장 출입구를 막고 시위를 벌인 탓에 본회의를 열지 못하고 이날 자정을 기해 자동 산회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흥덕지구 주민들이 의원들의 본회의장 출입을 봉쇄하는 초강수를 둔 것은 도시건설위원회가 잇따라 ‘인덕원∼동탄 복선전철(흥덕역) 사업비 부담 동의안’의 심사를 보류한 데 대한 항의 차원이었다.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는다고 본회의마저 무산시켜야 했냐는 문제 제기는 타당하다. 얼마나 절박하면 그렇게까지 했겠냐는 이해심이 가슴 한 편에 자리잡고 있다면 말이다.

 이후 흥덕지구 주민들을 향한 공격은 거세졌다. 흥덕지구는 ‘특정지역’이라는 단어로 대체됐다. 본래 의미와는 달리 폄훼의 뜻까지 추가됐다. ‘흥덕스럽다’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이 또한 지역 이기주의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하는 가시 돋친 공격무기다.

 흥덕역 설치에 반대하는 논리의 핵심은 ‘특정지역’에 과도(1천564억 원)한 재정을 투입한다는 것이다. 마을버스 노선도 없는 지역과의 형평성을 고려하면 이만한 특혜가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일견 그럴듯해 보인다. 하지만 잠시 시야를 넓혀보면 이 또한 편협한 시각임을 알 수 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의 직접적인 수혜자는 경기도민들이다. 그렇다고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지의 도민들이 왜 ‘특정지역’(경기도)에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냐고 어깃장을 놓지 않는다.

 멀리 갈 필요도 없다. 용인시가 올해부터 중·고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교복 구입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2·3학년생들이 ‘왜 그들만’이냐고 따지지 않는다. 때로는 누구나 ‘특정인’이 될 수 있고, 어떤 지역도 ‘특정지역’이 될 수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