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화학물질 취급업체 중 일부가 주택가, 학교 등과 인접해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화재가 난 이레화학 공장의 경우 직선거리로 2㎞가 채 안 되는 거리에 초등학교가 있고, 인근엔 대형 쇼핑몰과 아파트단지도 밀접해 있다.

 이레화학 공장 화재는 공장 9개 동과 차량 18대가 불에 타 소방서 추산 23억 원의 재산피해가 났고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사고 당시 인근에 있던 근로자들은 매캐한 냄새 등으로 인해 큰 고통을 느꼈다고 한다. 단순 화재가 아닌 화학사고로 볼 수도 있는 이유다.

 하지만 사고 당시 긴급 재난문자만 보냈을 뿐 화학물질 피해 주의 안내나 주민 대피 명령은 없었다. 더욱이 불이 난 공장이 무허가였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정부와 자치단체의 화학물질 관리·대응이 부실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현재 인천지역에는 화학공장이 다수 가동되고 있어 관련 사고도 잇따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화학물질 사고는 총 35건으로 사업장 시설 관리 미흡, 사업장 작업자 부주의, 운송차량 사고 관리 소홀 등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런데도 인천시와 각 지자체는 화학물질 취급업체에 대한 관리·감독 및 인허가권 등이 없는 상태다.

 2015년 환경부 산하 화학물질안전원과 한강유역환경청으로 이관돼 현재 시나 지자체에 화학물질 취급업체에 대한 권한이 없다. 화학사고는 업체가 신고했을 때 환경부가 판단하도록 돼 있고, 대응 체계에서도 시는 주민 대피와 지원 등 제한적 역할만 맡고 있다. 이로 인해 인천지역 화학공장에 대한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통계는 제각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화재사고로 인천시와 각 기초단체가 화학사고에 대한 대응이 부실하다는 게 여실히 드러났다. ‘화학공장은 시한폭탄’이라는 시민 인식이 날로 커지고 있지만 주민들은 지역내 화학공장이 얼마나 되는지, 화학물질을 얼마나 처리하는지 등의 정보를 제대로 접할 수 없을 뿐더러 사고가 발생하면 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도 모르고 있다.

인천시와 지자체는 향후 화학공장에서의 화재나 유출사고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업체에 대한 관리는 물론이고, 화학사고 관련 조례 신설이나 실질적인 화학사고 대응체계 구축 등 안전대책 마련을 서둘러주기 바란다. 주민들의 생명을 지키는 중차대한 일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