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정상회담을 닷새 앞둔 22일 인천시 강화군 강화제적봉 평화전망대를 찾은 시민이 망원경으로 북녘 땅을 바라보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남북이 서로 한몸이었던 시절, 강화 교동사람들은 황해도 연백으로 오일장을 갔다. 단지 물리적인 거리가 짧아서가 아니었다. 삶이 가져다 주는 살가움이 배어 있어서였다. 남북 정상회담을 닷새 앞둔 22일 인천시 강화군 제적봉 평화전망대를 찾은 시민이 망원경으로 북녘 땅을 바라보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남북정상회담이 닷새 앞으로 다가왔다. 세기의 냉전을 끝내고 지구상 마지막 화약고의 해체를 가늠할 수 있는 분수령이다. 한강 하구에서 백령도까지 평화의 봄이 올 것인지도 판가름 난다. 문재인 정부가 내놓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가 주목되는 이유다.

 22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따르면 서해평화지대는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개성공단∼평양·남포∼신의주 간 산업·물류·교통 등을 연결하는 역사·문화·경제 협력 벨트다. 하지만 남북 교류가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서해평화지대의 실천 방안인 해상 크루즈와 바다목장, 평화관광벨트, 역사탐방로 등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올해 들어 남북 관계는 급진전됐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계기가 됐다. 남북 고위급 관계자와 예술단, 체육계 인사들이 서울과 평양, 강원도를 오가며 하나된 모습을 보여 줬다. 급기야 지난 21일에는 북한이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한다는 결정을 채택하기도 했다. 기존 핵과 경제의 병진 노선에서 핵을 포기하겠다는 의미를 전 세계에 알렸다. 11년 만에 다시 열리는 3차 남북정상회담을 코앞에 두고 경제를 중심으로 남북 간 평화 교류의 물꼬가 트이는 순간이었다. 이는 서해평화특별지대 조성이 탄력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인천은 백령도 두무진과 황해도 장산곶이 ‘옹진’으로 하나였던 때를 떠올리며 기대하고 있다. 나들 섬 프로젝트가 변형된 남북 경협이 강화군 교동과 그 앞바다를 중심으로 펼쳐져 해주와 연백까지 닿는 새 국면을 맞을 수 있다는 뜻이다. 나들 섬은 강화 북동부 갯벌 30㎢를 메우는 인공 섬을 만드는 프로젝트다.

 연평도를 중심으로 한 공동어로수역 등 서해평화공원 조성 여부도 주목된다. 2005년 7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서해5도 주민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서해평화공원 등 남북협력 관리 방향을 잡기 위해서였다. 중국 어선 불법 조업을 막기 위해 남북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어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주민은 55%였다. 58%의 주민은 남북이 공동어로수역을 설정하면 서로 실익이 있을 것으로 봤다.

 한강 하구를 축으로 한 남북 간 학술 교류 성사도 관심을 끌고 있다. 김포~유도~강화도~연평도~대청도∼백령도 등 한강 하구에서 출발한 서해 북방한계선(NLL)은 태고의 자연과 생태적 가치가 남아 있다. 남북 바닷길을 통하는 잔점박이 물범과 하늘길을 오가는 재두루미는 NLL을 따라 서식하고 있다.

 해주를 연계한 남북의 유물 공동 학술조사의 필요성도 일고 있다. 1968년 서울대학교 학술조사팀은 연평도 5곳에서 빗살무늬토기와 조개무지를 발견했다. 신석기 후기로 추정되는 유물들이었다.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상잔의 아픔을 씻겨 낼지도 관심거리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평화의 봄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