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정상들은 2007년 10·4 공동선언에서 한강 하구를 공동개발하기로 했으나 실행에 옮기지 못해 이번 정상회담의 결과가 주목된다. 사진은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제적봉 안보관광 전망대에서 바라본 한강 하구.  <기호일보 DB>
▲ 남북정상들은 2007년 10·4 공동선언에서 한강 하구를 공동개발하기로 했으나 실행에 옮기지 못해 이번 정상회담의 결과가 주목된다. 사진은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제적봉 안보관광 전망대에서 바라본 한강 하구. <기호일보 DB>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모래 이용 등 한강 하구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천시 옹진군 바다생태계를 파괴하는 선갑도 바닷모래 채취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25일 시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따르면 한강 하구 모래 채취사업은 2006년 6월 ‘제2차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합의한 내용이다. 2007년 10·4 남북공동선언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에 포함됐다. 한강 하구는 130㎢ 면적에 질 좋은 모래가 11억t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모래 수요(연간 1억t) 대비 11년간 쓸 수 있는 물량이다. 당시 남북 경협추진위는 남북한 중립수역인 한강 하구 골재 자원을 공동이용하는 목적으로 합의했다.

한강 하구 개발은 인천시와 경기도 모두 관심거리다. 시는 지난 3월부터 인천연구원에 한강 하구 개발 연구용역을 맡겼다. 도는 지난해 말부터 비슷한 내용으로 경기연구원이 용역 중이다. 시는 한강 하구 개발과 달리, 모래 이용은 환경단체 등의 반대에 부딪쳐 추진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강 하구는 식물 플랑크톤 76종, 동물 플랑크톤 29종, 조간대 저서동물 342종, 조하대 저서동물 181종 등 세계적 해양생물 다양성의 보고(寶庫)다. 유럽 와덴해 갯벌보다 4배 높다. 또 황새·두루미 중간기착지, 저어새 번식·산란지, 노랑부리백로, 대청부채, 잔점박이물범 등 서식한다.

지역 골재업계는 한강 하구 모래 이용을 환영하고 있다.

인천골재협회 관계자는 "올해 6월 말까지인 EEZ(배타적경제수역) 모래 채취가 끝나면 골재업계는 모두 문을 닫는다"며 "11억t이면 17억6천㎥인데, 연간 인천에서 2천300만㎥ 골재를 생산하니까 어마어마한 양이고 EEZ 모래보다 질도 훨씬 좋을 것이다"고 말했다.

골재협회는 2022년까지 선갑도 주변 해역 16.7㎢에서 바닷모래를 퍼내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인천해양수산청은 국립수산과학원과 함께 골재협회가 낸 서류를 검토하고 있다.

앞서 골재협회는 연간 1천만t의 바닷모래를 채취하겠다고 계획을 내놨지만, 지난해 말 인천해수청 보완 요구에 따라 700만t으로 양을 수정했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건설 현장 투입 바닷모래 수급량은 총 2천700만㎥으로 산정했지만 같은 해 10월 채취량이 1천500만㎥ 정도였다. 이 때문에 불량 골재인 흙 모래가 골재 시장에 버젓이 나돌고 처리비를 감당 못하는 업체는 모래를 거른 흙 찌꺼기를 논밭에 버리는 일도 있었다. 건설폐기물을 걸러낸 순환골재까지 불법으로 레미콘 재료에 쓰였다.

인천지역 어민 등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18일 "선갑도 주변 해역은 해양생태계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지만 시와 옹진군이 30년 가량 바닷모래 2억8천만㎥를 파헤쳤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27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한강 하구 개발과 관련한 내용이 담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한강 하구 개발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도와 협의해 세부계획을 세워 추진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