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인천항은 제3차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경제 협력 재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천~남포항 재개를 비롯해 해주항로 개설 등 해주 경제특구에 제2개성공단 개발이 결정되면 지리적으로 가까운 인천이 가장 많은 혜택을 보기 때문이다.

 인천 지역사회는 인천~해주 항로 신설 및 인천~개성~해주를 연결하는 삼각벨트도 실현 가능하다는 기대에 차 있다. 인천항 물동량을 대거 끌어올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입장에서다.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5·24 조치로 남북 교역이 중단될 때까지 5년간 인천항의 북한 물동량은 4억4천34만t에 달했다. 컨테이너 물동량도 5만8천445TEU를 기록했다. 2008~2009년에는 인천항에서 처리한 북한 해상 물동량이 2만700만t에 달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인천항만업계는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가장 먼저 인천~남포 항로가 재개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남포는 북한 내에서 정치 군사적 부담이 적고 노동력과 사회간접자본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곳이다. 때문에 평양과도 가까워 북한 입장에서는 인천~남포 항로가 절실하다는 생각에서다.

 특히, 인천은 지리적 위치뿐만 아니라 시설 여건으로도 최적지로 육로 운송보다 해상운송 물류비가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북한 화물이 인천항으로 올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인천~남포 항로가 재개되고 인천~해주 항로가 신설되면 인천은 수출입 환적 물동량 증가로 10년 후에는 컨테이너 물동량만 해도 200만TEU는 무난할 것이라는게 물류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제 인천항은 대중국, 대북한의 전진기지 및 한반도 중추 역할을 하기 위해 신항 1-2단계를 비롯해 배후부지 조성 등 물동량 확보를 위한 준비에 나서야 할 것이다. 특히, 남포항과 해주항 등 열악한 부두시설에 대한 지원을 검토해 이에 상응하는 대가를 받는 쪽도 검토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수심이 낮은 해주 앞바다 준설을 지원하고 바닷모래를 가져오는 방법을 염두해서다.

 물론, 북미회담과 유엔의 대북제재에 따른 결과가 아직 남아 있는 상황에서 섣불리 나서는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비한 인천항의 자구책을 마련해두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