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의 정상회담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게 됨에 따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담판에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북의 핵 도발을 둘러싸고 한반도에서 일촉즉발의 대결 국면을 조성했던 두 정상 간의 만남 그 자체로도 세기적 사건인데다 회담 의제와 결과물도 파격적일 것이란 기대감에서다. 그동안 유력 후보지로 거론됐던 판문점이 제외된 것에는 다소 아쉬움이 있지만 회담의 장소와 시기 발표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제기됐던 우려와 불확실성이 제거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북미회담까지는 앞으로 한 달이 채 남지 않았다. 한반도가 세계의 화약고에서 항구적 평화로 가는 변곡점에 와 있는 것이다. 북한과 미국이 당사국으로 직접 교섭을 벌이고 있지만 직접적 이해 당사국인 우리의 사활이 걸려 있는 만큼 정부의 역할이 더욱 크고 중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문재인 대통령과 우리 정부 당국은 북미 중재자로서의 역할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함으로써 북미정상회담을 성공으로 이끌고, 향후를 대비하는 기회의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 정부는 조만간 성사될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를 통해 북한의 동참을 이끌어내는 것을 비롯해 한미 정상회담 및 선진 7개국(G7) 정상회의 등의 기회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앞서 한중일 3국은 지난 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4·27 남북정상회담 결과물인 판문점선언을 지지하고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3국이 공동 노력을 하는 내용의 특별성명을 채택했다. 북핵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서는 주변국의 협력과 지지가 필수적이다. 그간의 소원함을 뒤로 하고 동북아 지역 공동체 일원인 중국과 일본의 공조를 이끌어 낸 것은 잘한 일이다.

우리 정부가 북미 중재를 보다 완전하게 하고 이를 통해 남북이 궁극으로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서는 예측 불가능한 돌발 변수까지 대비해야 한다.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김 위원장이 방중 40여 일 만에 재방중 한 것은 심상치 않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 시도가 북핵 협상에 새로운 변수가 되어 대결 국면으로 회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중국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북미 양측이 우리의 핵심 이익을 침해하거나 손상하는 직거래를 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