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주영 인천시 일자리경제국장.jpg
▲ 변주영 인천시 일자리경제국장
세계경제포럼의 ‘글로벌 리스크 2014’는 실업 문제가 향후 10년간 세계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유럽과 신흥국의 실업 문제는 세계 경제의 최대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우리의 실업 문제도 예외는 아니다. 1970년대 초 경제성장률은 14.8%까지 오른 적이 있었다.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은 5.9%, 2017년 지난해는 3.1%이다. 초저성장의 시대다. 기업이 더 이상 충분한 일자리를 제공하지 못한다.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모두에서 새로운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일자리위원회를 출범시켜 일자리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고 일자리 지원도 톱다운(Top-down)에서 보텀업(Bottom-up)으로 전환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도 수없이 많은 일자리 모델을 발굴하고 시행착오도 겪고 있는 바야흐로 일자리 발굴 춘추전국시대다.

 각 시·도마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민·관 협업 맞춤형 일자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남에서는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을 모토로 영농조합, 체험마을 등에 청년 활동가를 배치해 일자리 창출과 마을 공동체 활성화를 유도하는 ‘마을로 프로젝트 사업’을, 부산에서는 푸드트럭 창업교육과 컨설팅을 지원해주는 ‘푸드트럭 청년창업 지원사업’을, 제주에서는 ‘말 조련사 양성교육’ 등 지역 특성을 살린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시도 지역 특성과 산업 환경에 적합한 일자리 사업을 위해 지역 및 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새롭고 창의적인 사업을 발굴해 혁신 프로젝트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3배나 많은 국비를 지원받았다. 시와 유관기관 담당자들의 신규사업 발굴 전략회의, 일자리 발표대회, 사업별 검토회의 등을 거쳐 11개 혁신 프로젝트를 공모해 8개 사업이 선정됐다. 5개 일반사업을 포함 13개의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뿌리산업 일자리 희망센터’를 개소했고 취업자에게 경력형성 장려금 월 30만 원을 지원한다. 강화에서는 역사·문화·관광·농업 자원을 활용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청년일자리 플랫폼 청춘 마을사업’과 강화산단 일자리 지원을 위한 ‘강화 일자리 잡(Job)다(多)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청년에게는 중소기업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문제 해결과 인재 확보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희망 이음사업’도 확대해 추진하고 있고 기업체에게 일자리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고 취업과 연계하는 ‘산업단지 블록 톡 사업’, 도심지 집을 활용해 버섯 등 농산물 재배 방법을 교육시켜 창업과 연계시키는 ‘스마트 도시농부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쉬움은 있다. 중소기업 취업의 장애요인 중 하나인 산업단지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남동인더스파크 내 ‘무빙 콜 사업’을 기획했다. 근무시간 중 렌터카를 이용해 편의시설 및 지하철 역사 등과 연계해 근로자들의 교통편의를 제공하려는 사업이었는데 선정되지 못했다.

 요즘 실업문제 해소를 위한 일자리 사업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지역 실정과 구직자들의 눈높이에 맞고 가려운 곳을 긁어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일자리 모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하고 말이다.

 일자리경제국에서는 팀별로 순회하며 격의 없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때론 엉뚱하고 정책으로 실현 가능할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하지만 많은 아이디어와 제안이 나오고 있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대체인력 양성 프로그램, 남북 화해조성 분위기에 부합되는 남북 경협의 전초기지로서 인천의 역할을 고려한 모델, 전국 평균보다 높은 제조업 종사자를 보유한 제조업의 도시 인천의 특성을 반영한 모델 등 오늘도 일자리 인큐베이터 안에서 새로운 일자리 모델의 씨앗을 품어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