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비전.jpg
▲ 24일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교수회관에서 열린 ‘2018 물류인천 대토론회’에서 김운수 인천연구원 실장이 '인천항 퀀텀 점프를 위한 현황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김덕현 기자
인천시가 항만 관련 조직을 개편해 지역 항만 발전에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교수회관에서 열린 ‘2018 물류 인천 대토론회’에서 김운수 인천연구원 실장은 ‘인천항 도약을 위한 현황과 전망’ 주제발표에서 "시의 항만 관련 조직은 전문성이 부족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시는 2003년 ‘항만공항물류국’이란 이름으로 해양항공물류 분야에 대한 조직을 전국 최초로 신설했다. 현재는 해양항공국 산하에 항만과·항공과·해양도서정책과·수산과 등 4개 과가 있다.

문제는 시 항만 관련 조직이 인력과 전문성이 부족하고 예산도 적다는 점이다. 부산시의 항만 관련 인력은 ‘해양농수산국’에서 농축산유통과를 제외하고 101명이다. 여기에 공항정책과 육상물류 교통 담당자를 더하면 모두 114명이다. 반면 시의 항만 관련 공무원은 78명에 불과하다.

김 실장은 "그나마 항공과에는 전문가가 1명 있지만 항만과는 공무원들의 순환보직으로 전문성이 부족하다"며 "항만 현안 해결과 발전 방안 제시보다는 관리를 하는 데 그치고 있다"고 했다.

시 항만 조직은 관련 예산도 부족하다. 올해 시의 총예산 6조5천93억 원 중 해양항공국 예산은 5.21%인 961억 원이다. 그나마 이 예산의 60% 이상은 서해5도 주민 생활 지원과 여객선 운임 지원 등으로 쓰고 있다. 항만과 예산은 6.7%에 불과하다.

김 실장은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부산 지역사회에선 일찌감치 국가 관리 무역항과 연안항의 지방항만화, 항만공사의 지방공사화 등을 6·13 지방선거 시민 의제로 발표하고 있다"며 "인천도 시가 중심이 돼 신항 1-2단계 조기 개발, 수도권정비법 적용 예외, 제1항로 증심, 높은 배후단지 임대료 문제 등 각종 현안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남북 교류 확대를 대비해 인천항이 북한 화물 환적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중장기 대책을 세워야 ‘컨테이너 500만TEU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대토론회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