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중소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고 한다. 공장가동률, 생산, 수출 등 실물지표가 지속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시대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 육성이야말로 한국 경제의 활로를 여는 데 시급한 일임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을 경영하는 기업인들이 실의에 빠져 있는 것이다. 설상가상 현실은 더욱 열악하다.

 통계청의 3월 산업동향 및 5월 중소기업중앙회 경기지역본부의 경기지역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 등에 따르면 도내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3%이지만 중소기업이 몰려있는 도내 국가산업단지 상황은 더 심각하다.

국내 최대 중소제조업체 밀집지역인 반월산단은 가동률이 62%까지 하락하는 등 도내 주요 국가산업단지 평균 가동률은 전국 평균 75.7%보다 낮은 59.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 화해모드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해소돼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조금 나아지고 있으나 생산, 수출, 고용 등 실물지표는 모두 전월대비 하락한 상태다.

주요 원인으로는 내수부진과 수출 경쟁력 하락을 꼽을 수 있다. 자동차 등 주력산업 부진과 대기업이 주력 생산기지를 해외로 이전함에 따라 이들에 부품을 납품하는 중소기업 가동률 또한 하락했다. 금년도 최저임금의 가파른 인상과 7월부터 근로시간 단축 여파 등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경영 환경 악화도 주원인으로 지적된다.

 이토록 비중 높은 중소기업들이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 새 노동정책으로 인해 경영난에 빠져선 안 된다. 대·중견기업과 중소기업 상생 협력 관계 강화로 새로운 활로를 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도 있다. 무엇보다도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크게 두 가지가 필요하다. 하나는 중소기업의 자기혁신이다. 기술혁신 투자 등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성과급 등을 제도화해 나가야 한다. 뼈를 깎는 자구 노력으로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다. 다른 하나는 정부가 중소기업 정책 경쟁력을 높이는 쪽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지금처럼 지원 위주 정책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단언한다. 정부와 국회는 법과 제도의 틀을 시장 변화에 맞춰 선제적으로 개선, 중소기업이 창조적 혁신을 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주는 데 힘써 주길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