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시내 한 보안등에 부착돼 있는 ‘스마트 도로조명’ OR코드 신고표찰 주변에 불법 광고물이 뜯겨진 흔적(왼쪽)이나 수풀에 가려져 보이지 않고 있다.  박종현 인턴기자
▲ ▲수원시내 한 보안등에 부착돼 있는 ‘스마트 도로조명’ OR코드 신고표찰이 수풀에 가려 보이지 않고 있다. 오른쪽은 불법 광고물에 뒤덮인 신고표찰. 박종현 인턴기자
수원시가 총 4억4천만 원의 예산을 들인 ‘가로등 및 보안등 신고시스템’이 8개월째 자체 신고시스템 구축 지연으로 ‘먹통’ 운영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25일 관내 가로등 및 보안등 4만293개를 전수조사하고, 시설물마다 고유번호와 QR코드가 써져 있는 스티커(표찰)를 부착하는 ‘스마트 도로조명 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그해 9월까지 구축할 계획이었다. 이는 가로등과 보안등의 고장 및 관리 상태에 대한 신고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기 위한 것으로, 가로등과 보안등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QR코드를 휴대전화를 통해 인식시키면 해당 구조물에 대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시는 가로등 2만4천392개, 보안등 1만4천749개, 가로등 제어함 1천152개 등 총 4만293개에 대한 전수조사를 끝낸 상태이며, 추가적으로 누락된 가로등과 보안등 및 제어함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시가 현재까지 전수조사 및 표찰을 부착하는 데 사용한 비용은 4억4천여만 원에 달하며, 앞으로 설치가 누락된 조명시설을 조사하고 신고시스템을 보완하는 데는 추가적인 비용이 투입될 예정이다.

하지만 시내 전역에 설치돼 있는 가로등 및 보안등에 고유번호와 QR코드가 인쇄돼 있는 표찰을 부착했음에도 8개월이 넘도록 자체 신고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운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가로등 및 보안등에 부착한 표찰이 이미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훼손돼 있거나 시민들이 이를 찍어서 신고하기에 어려운 높이에 붙어 있는 등 무용지물로 전락하면서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다.

수원지역 대부분의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은 표찰이 차도 방향으로 붙어 있어 보행자들이 신고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영통구 매탄동의 한 아파트 단지 앞 가로등에 부착된 표찰들은 대부분 1.9~2m의 높은 높이에 부착돼 있어 휴대전화를 통해 QR코드를 인식시키기 힘들었고, QR코드를 인식시키기 위해선 차도 쪽으로 나와서 위험하게 찍어야 했다. 인근 상가 근처에 있는 가로등은 QR코드가 훼손된 표찰이 붙어 있다. 휴대전화 카메라를 통해 QR코드를 인식시켜 보려 했지만 불가능했다. 매탄공원 사거리에 부착된 표찰은 이미 떨어져 있는 등 시내 상당수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심지어 시는 QR코드를 통해 실제 신고가 가능한 가로등·보안등이 거의 없다고 말했지만, 취재진이 직접 곳곳에 있는 가로등·보안등의 QR코드를 찍어 신고하자 모두 고장신고 민원이 접수됐다는 알림과 함께 민원처리에 대한 사항을 문의할 수 있는 번호가 안내됐다.

시 관계자는 "조명시설을 제어할 수 있는 고유 프로그램 개발이 늦어져 아직 운영을 못하고 있다"며 "올해 말까지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해명했다.

박종대 기자 pjd@kihoilbo.co.kr

박종현 인턴기자 qw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조명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