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 교수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실질적으로 폐쇄됐다. 군산지역은 피폐되고 정부는 손을 놓고 있다. 나머지 한국지엠의 부평과 창원공장을 살리기 위한 공적 자금 투입은 결정돼 당장 어려움은 모면했으나 군산공장은 심각한 상태이고 정부도 손을 놓고 있다. 과연 군산 공장은 이 상태로 끝날 것인가?

 지난 22년간 국내에서 승용차 공장이 세워진 경우는 없었다. 최저임금 문제와 주당 52시간 근무제 시행은 물론이고 기업에 도움이 되는 정책은 요원한 실정이다. 국내 시장에 투자를 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동차 분야는 더욱 고비용 저생산 저효율 구조와 강성 노조의 이미지가 강해 국내 투자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과연 군산 공장은 무엇으로 회생할 수 있는가?

 우선 최근 발표돼 관심이 많은 광주형 일자리 자동차 공장에 대한 참조가 필요하다. 광주형 일자리는 기존 자동차 공장에서 받던 연봉의 과반수인 4천만 원대 연봉으로 고비용 구조를 개선하고 위탁형 자동차 생산을 하는 구조이다.

 기아차 모닝과 레이라는 경차를 생산하는 동희오토라는 위탁생산 방법과 유사하나 광주시가 대주주가 되고 다양한 메이커의 차종을 생산하는 방법이 다르다. 기존 9천만 원대 연봉이라는 고비용 구조를 벗어난 실속형 모델을 고민한다면 충분히 승부를 걸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군산공장은 이미 자동차 플랫폼이 구성돼 있는 생산 가능한 구조라는 것이다. 30만 대 이상 대량 생산 체제 구축은 상황에 따라 약이 될 수도 있고 독이 될 수도 있다.

 전기차 같은 소량 생산 체제로는 실속이 부족하고 한계가 크기 때문이고 그렇다고 대량 생산을 위한 다른 메이커의 투자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확실한 부분은 시설이 완벽해 재투자 없이 비용을 절약하면서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크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한국지엠의 의도이다. 하루속히 청산을 위해 헐값으로 해외 매각한다면 예전 쌍용차 문제와 같은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을 필두로 정부 차원의 간섭이 요구된다.

 이미 경영에 실패한 한국지엠이 책임지고 회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정부는 감시가능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네 번째로 군산 공장에서의 실질적인 생산 모델이다. 저가로 생산하는 모델인 만큼 경차 수준의 가성비가 요구된다.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인기가 치솟고 있는 경형 SUV 등 경차 모델을 연구 개발해 다양성을 만족하면서 정부도 각종 인센티브 정책을 통해 힘을 실어줘야 한다. 기존 자동차 노조 반발 등 문제점을 최소화하면서 장점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동시에 한국지엠의 다크호스였던 다마스와 라보 같은 서민용 경승용차 생산을 새로 이어가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 모델은 지난 수년간 환경적인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고 서민용이라는 이유로 연장 생산됐으나 곧 생산 중단이라는 한계를 지닌 모델이다. 그러나 아직도 단일모델로서 인기를 끌고 있고 충분한 경쟁력이 있는 만큼 OBD2 조건 등 환경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조금만 노력한다면 충분히 경쟁력 있는 모델이라는 것이다.

 다섯 번째 여기에 앞서 언급한 전기차 같은 경쟁력 있는 모델 한두 가지 정도만 추가한다면 군산 공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 다양한 모델을 위탁생산하고 새만금 단지 등 함께 있는 공간을 시험장 등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여섯 번째 중앙정부와 한국지엠은 물론 지자체 등 산학연 컨소시엄이 필요하다. 중앙정부는 제도적 지원과 세제 지원 등 최대한 지역적 지원을 동원하고 한국지엠은 기존의 책임을 다하며, 지자체는 지역적 역량을 모아 성공적 요인을 집중시켜야 한다. 군산 공장 문제는 중앙정부와 한국지엠 등이 책임을 지고 해결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