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도 많고 말도 많았던 인천내항 부두운영사 통합 운영이 결국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1997년부터 부두별로 1∼3개 부두운영사와 시설 전용운영권 계약을 맺은 지 21년 만이다. 통합법인에는 기존의 인천 내항 10개 부두운영사 중 지분을 다른 회사에 양도한 1개 회사를 제외하고 9개 회사가 각각 3.0∼19.59%의 지분 비율로 참여했다. 이달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가기 위해 각 사들은 상용화 노조를 포함한 자사인력을 기존 800여 명에서 600여 명으로 감원하기 위한 자금난을 겪어야만 했다.

인천 내항은 수년 전부터 재개발로 인한 기존 부두시설이 32개에서 27개 선석으로 줄어드는 등 물동량이 급격히 감소되면서 운영사들이 매년 60억∼70억 원 의 적자를 기록해 경영난이 가중된 것만큼은 사실이다.

물론 세계금융위기 등의 영향도 배제할 수는 없다. 여기에다 인천내항 주변 신규 항만 개발에 따른 화물 감소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재개발 요구 등으로 인해 하역사업에 대한 불확실성마저 상존해 왔다.

 이에 정부는 운영사가 경영난으로 운영에 차질을 빚거나 갑작스러운 대량 실직 사태가 발생할 것을 우려해 통합 운영을 적극적으로 유도했다. 때문에 이제는 내항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운영 주체인 인천항만공사가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 인천항만공사는 통합 법인에 대해 선석 임대료 감면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에 따른 정부의 지원 대책 뒷받침도 마련돼야 한다.

기존 컨테이너부두인 4부두를 중고자동차 야적장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또한 인천시가 내항을 이용하는 선사와 화주에 대한 인센티브를 다시금 제공한다면 내항 내 총 27개 선석과 81만8천㎡의 야적장, 10만3천㎡의 창고 등을 활용한 부두 운영은 한층 효율적일 것이다. 인천 내항의 항만 기능 재편은 부두의 생산성과 항만 경쟁력을 높이는 등 주변 원도심 연계 및 재생하기 위한 폭넓은 참여와 협력의 장의 역할로 거듭나야 한다.

지역 고유의 역사, 인문 자산 및 사회, 경제, 산업구조 등을 활용한 항만의 특수성을 살려 지역의 정체성과 가치를 강화한다면 변화 추세를 반영한 주민이 공감하는 방향의 도시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확신하기 때문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