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72401010010953.jpg
▲ 4·27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 정상이 휴전선을 넘어 손을 맞잡았고, 판문점 선언으로 전쟁의 끝과 평화의 시작을 알리며 한반도가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바람의 언덕에서 자유와 평화를 상징하는 형형색색 3천여 개의 바람개비가 힘차게 돌아가고 있다. 파주=홍승남 기자 nam1432@kihoilbo.co.kr
경기북부가 ‘평화’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4·27 남북 정상회담이 기폭제가 됐다. 이곳은 군사분계선(DMZ) 등이 가로질러 접경지역으로 분류된다. 당연히 개발에서 소외돼 주민들의 피해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다. 지금 경기북부에는 평화를 매개로 봄바람이 불고 있다. 선두에서 남북 교류를 이끌어 나갈 경기북부가 되길 모두가 기원하고 있다.

사실 가평·고양·구리·남양주·동두천·양주·연천·의정부·파주·포천 등 10개 시·군은 그동안 도시화 진행이 더뎌 낙후지역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지역총생산(GRDP)만 봐도 그렇다. 2015년 기준 경기북부는 51조 원이었다.

반면 남부는 5배인 263조 원에 달했다. 재정자립도 역시 34.3% 대 75.4%로 엄청난 차이가 난다. 무한한 성장잠재력을 지녔음에도 접경지역이라는 이유로 소외를 받아온 것이다. 그나마 남양주·고양·파주 등은 서울과 접근성이 좋아 신도시 개발 등으로 나름의 변화를 이어가고 있다. 접경지역의 굴레를 벗기 위해 나머지 시·군은 차별화된 관광산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중이다. 이는 인구수에서 나타난다. 지난해 말 기준 경기북부 10개 시·군의 인구수는 335만7천324명에 달했다. 꾸준한 인구 유입이다. 인구 증가는 경기북부의 가치와도 일맥상통한다. 접경지역의 한계를 벗어나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새삼 느끼게 한다. 행정기관 개청을 보면 알 수 있다.

2000∼2016년까지 이곳에는 경기도청 북부청사와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의정부지방법원, 의정부지방검찰청, 경기북부지방경찰청, 경기도 북부재난안전본부, 경기북부병무지청 등이 문을 잇따라 열었다. 행정 서비스의 품격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물론 경기북부 도민의 삶도 전보다 크게 향상됐다. 이제는 접경지역의 오명(汚名)을 넘어 ‘금맥(金脈)’으로 다가온 것이다. 남북간 화해무드로 통일시대 구심점 역할을 맡을 경기북부지역으로 떠올랐다는 의미다. 무궁무진한 개발 수요가 생겨날 수 있는 ‘기회의 땅’ 경기북부를 기대해본다.

 박종대 기자 pjd@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