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이 강조한 ‘통계에 기반한 시정’ 실현을 위해 지역통계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전국 꼴찌 수준의 통계기반을 강화하고 사업별로 맞춤형 통계를 이끌어 내는 것이 주요 과제로 꼽힌다.

23일 시에 따르면 재난·환경·관광·일자리 분야에서 통계 활용도를 높이라는 시장 업무지시에 담당 부서들은 한계를 호소하고 있다.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 건수 자체가 많지 않은데다가 중앙서 나오는 자료는 현황 파악이 어렵기 때문이다.

시와 경인지방통계청의 ‘통계컨설팅 보고서(2017)’에 따르면 인천의 통계생산 건수가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시는 현재 주민등록인구통계 등 기본통계 6개만 발표하고 있다. 시민 삶의 질을 평가하는 객관적 자료이자 모든 정책의 기초자료가 되는 지역사회조사 통계는 전국서 유일하게 없다. 시민생활 및 의식조사와 분기별 발행한 계간 인천통계도 2014년 중단됐다.

이렇다 보니, 통계청과 정부 부처 등 전국단위의 통계를 참고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 자료로는 지역 실정을 반영한 정책 수립에 한계가 있다. 일자리정책에 기본이 되는 인구이동만 봐도 순유입·유출까지는 확인이 가능하지만 정작 중요한 이동원인·임금수준·경제활동 상태 등은 파악이 불가하다.

게다가 기초단체별 자료는 공개돼지 않아 각 군·구별 산업구조와 분야별 일자리 현황을 모른 채 추계로 정책을 만드는 상황이다. 결국 분야별 통계 활용을 위해서는 주요 사업별로 자체 통계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서울시는 상주인구에 한정된 기존 통계를 벗어나 기업협업을 통해 생활인구통계를 도출했다. 이를 통해 교육·의료·관광·쇼핑객 등을 포함한 서비스 인구 개념의 맞춤 정책 개발이 가능했다.

일자리도 자체조사가 이뤄진다면 기초단체별 취업현황·구직현황·희망일자리·직업교육·취업지원정책 등을 반영한 지역고용정책을 마련할 수 있다.

관광 분야의 경우도 인천관광공사가 격년으로 시행하는 지금의 통계를 넘어 여행실태와 소비실태, 보완사항 항목에서 보다 세부적인 검토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시의 전문성 강화가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지금처럼 통계기관의 자료를 인용할 경우 문제가 없지만 사업마다 필요한 마이크로데이터를 직접 분석해 내려면 전문가가 필요하다.

타 지역에서는 통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민관 협업체계도 갖췄다. 서울은 빅데이터 심의위원회를 두고 도시데이터사이언스연구소 등 전문기관과 협업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통계 조례에 근거해 통계정책위원회를 운영한다.

지민웅 산업연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실 연구위원은 "통계청 자료만으로는 지자체에서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지역에서도 통계전문가가 통계를 생산하고 지역을 잘 아는 전문가가 실정에 맞는지를 체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