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재개발·재건축 패러다임을 대폭 수정해 소규모 마을 정비·보전에 초점을 맞춰 인천형 저층주거지 사업인 더불어마을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는 보도다. 더불어마을 조성은 정비구역 해제지역 또는 노후·불량 주택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전면 철거 방식의 고밀도 개발에서 벗어나 소규모 마을 정비·보전·관리로 아파트 단지처럼 편리한 생활환경을 갖추는 프로젝트로, 총 2천15억5천600만 원을 들여 올해부터 2022년까지 44개 이상 조성한다. 이 가운데 올해 4개, 매년 10개씩 더불어마을을 지정해 한 구역당 40억 원씩 지원한다.

 인천시는 정비구역 해제 지역과 희망지를 뽑아 뉴딜사업과 연계하거나 더불어마을 사업을 진행해 공동체 기반 구축과 사업 시행, 운영 활성화 등의 선순환 구조로 주거지 재생을 꾀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이미 106개 정비사업구역 전수조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있다. 현재 관리처분계획 인가로 사업을 멈추기 어려운 곳 14곳, 이미 착공한 곳 14곳 외에 78개 정비구역이 해제가 가능해, 이들 해제 대상구역을 더불어마을로 관리하고 개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낙후됐다고 그대로 방치한다면 결코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사업을 시행하고, 주민 자력으로 관리 보존하는 더불어마을 사업은 뉴딜사업보다 규모는 작지만 주민 주도의 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 단지 헌 건물을 허물고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만이 능사가 돼서는 안된다. 세련되고 멋진 건물이 들어서지 않아도 지역의 환경은 충분히 바뀔 수 있다. 진정한 의미의 지역재생은 지역의 문화를 고려하고 사람 중심으로 생각할 때 이뤄질 수 있다.

 더불어마을 조성 사업을 통해 노후화돼 도시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없게 된 지역을 재생시켜 그 지역이 다시금 문화·경제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게 된다면 더 이상 바랄 게 없다. 그러기 위해선 지자체와 시민들이 함께 협력해야 한다. 자칫 관주도의 획일적인 도시재생 사업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바꿔 예산만 낭비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시장과 시민사회가 함께 협력한다면 충분히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마을을 가꾸고 재생하는 일, 그저 도시를 아름답게 정비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