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4월 인천시는 기존의 월례회의가 ‘소통·공감조회’로 탈바꿈했다고 대대적으로 알렸다. 수직적인 의사구조를 바꿔 시장이 현장 답변 시간을 갖고, 5분 자유발언, 오픈스테이지 등으로 직원과 상호소통하겠다고 했다. 1년에 4번 500여 명의 직원을 모아 회의했지만 시민들에 체감할 수 있는 어떠한 결과를 낸 적은 없다. 직원끼리 소통만 한 셈이다.

# 올해 6월 열린 민선 6기의 마지막 확대간부회의에서는 가치재창조와 애인섬 만들기, 문화주권, 수도권매립지, 인천아트센터 등이 줄줄이 나왔다. 시 간부 뿐 아니라 산하기관 간부와 군·구 부단체장 등을 모아 놓고 시 사업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했다. 분기별로 진행되는 이 회의는 특정 사업이나 주제를 가지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아닌 ‘시정 보고회’에 가까웠다.

간부회의와 확대간부회의, 소통·공감조회… 인천시가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이 회의의 공통점은 주제를 꼽을 수 없다는 것이다.

주제와 목적이 없다 보니 매월 크게 다르지 않은 현안사항 보고와 시장의 의사전달이 주를 이룬다. 뚜렷한 결과나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도 그 이유다.

1일 박남춘 시 정부 들어 처음 열린 간부회의에서는 정례회의를 소통과 협치 중심의 열린 회의로 개선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시민과 전문가의 참여가 제한되다 보니, 외부 의견수렴이 제한된다는 것이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꼽혔다. 그러나 소통에 앞서 회의의 목적을 명확히 하는 일이 더 시급하다는 지적이 크다.

한 시간에서 90분 가량의 짧은 시간에 하나의 현안에 집중하지 않으면 결국 겉 핥기에 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주제 없이 형식에만 치중할 경우 보여 주기식 회의가 될 우려도 있다.

지난 연말 진행된 행정관리국 업무보고는 시장과 간부 공무원이 스탠딩 테이블에 서서 진행했다. 시는 ‘격식을 벗었다’라고 자화자찬했지만 시민들에게 와 닿은 회의의 능률이나 결과 면에서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현재 확대간부회의의 경우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있지만 지난 3년간 평균 조회수가 462회에 그칠 정도로 주민 관심도가 떨어졌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는 시민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현안 해결 집중토론 방식 등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동인천역 주변 활성화’와 같은 특정한 주제에 집중해 회의를 운영하고 필요 시 현장회의를 병행하는 방법이다.

시 관계자는 "오늘 간부회의에서 개선 방안이 결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다양한 방법을 열어 놓고 회의 방식을 조율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