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 광역버스 업체 및 근로자 대표들이 7일 인천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시측의 버스준공영제 참여를 촉구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인천시 광역버스 업체 및 근로자 대표들이 7일 인천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시측의 버스준공영제 참여를 촉구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인천∼서울(서울역·강남 등)을 오가는 광역버스가 멈출 위기에 놓였다. 인천시가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광역버스 업계와 한 재정 지원 약속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천지역 광역버스는 8개 업체 22개 노선(274대)이 운행 중이다. 이 중 서울역·강남 등 서울로 가는 노선은 5개 업체 19개 노선(259대)이다.

시는 지난 3월 업계에 최저임금 인상분에 대한 재정 지원(약 21억 원)을 약속했다. 업계는 이를 믿고 기사 1인당 240만∼250만 원이던 월급을 35만∼40만 원 올려 약 280만 원을 지급하고 있다. 업계는 2016년 19억 원, 지난해 18억 원 등 매년 적자를 보고 있다.

하지만 시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시는 광역버스 재정 지원을 위해 하반기 추경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했지만 부서별 의견이 달라 무산됐다는 이유를 들었다. 결국 인천광역버스 업체와 근로자 대표들은 7일 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시를 비난했다.

이들은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기준법 강화로 적자는 늘고 근로자의 처우는 더 열악해지고 있다"며 "재정 지원이나 준공영제 참여가 없다면 광역버스 운행이 중단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기사 부족으로 하루 300만∼400만 원가량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며 "업계의 어려운 사정을 고려해 시는 조속한 준공영제 참여를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업계의 주장에 대해 시 버스정책과와 예산담당관실은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 버스정책과 관계자는 "감차는 시민들이 피해를 보기 때문에 감회만 허용한 상태로 재정 지원을 해 줘야 하는 상황"이라며 "재정 지원을 못해 주면 결국 감차나 폐선을 받아줄 수밖에 없다"고 업계의 입장에 동의했다.

그러나 시 예산담당관실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은 정부 정책으로, 이에 따라 지방만 광역버스 재정 지원을 해 줄 수는 없다"며 "정부 정책 방향에 맞춰 갈 것"이라고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광역버스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