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청라600.jpg
▲ 인천 청라 로봇랜드 로봇산업지원센터와 로봇테마파크 부지. /사진 = 기호일보 DB
인천로봇랜드가 계획했던 로봇 테마파크와 로봇 산업단지는 더 이상 미래 먹거리가 아니다. 2000년대 초 정부가 로봇산업을 육성하던 때나 들어맞는 얘기다. 지금은 모형 항공기(드론)와 스마트시티, 인공지능(AI) 등이 대세다. 신산업 간 융·복합이 필요한 때다. 이런 움직임은 로봇랜드 안에서 이미 감지되고 있다. 드론 업체가 전체 49개 업체 중 20여 곳에 달한다.

로봇랜드에 들어온 국토교통부 산하 항공안전기술원은 232억 원의 국비를 받아 드론인증센터를 만들려고 한다.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도 로봇랜드를 융합 신기술 ‘테스트베드’로 앞으로 10년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국내외 과학이론, 신기술 등을 시험하고 전시·상용화하는 작업이 더 로봇랜드에 맞는다는 의미다. 이렇게 되면 전 세계 기술자와 바이어, 관광객들이 모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공항과 항만이 가까운 청라경제자유구역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시의 의지 부족과 ㈜인천로봇랜드(SPC), 민간투자자, 도시공사가 서로를 믿지 못한다는 게 문제다.

시 관계자는 8일 "로봇랜드 조성실행계획 변경안대로 갈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며 "산업부를 설득해 시를 믿게 해야 하는데 쉬운 일이 아니고, 로봇랜드의 방향성을 잡고 열심히 일했는데 SPC와 민간투자자들은 시만 원망한다"고 하소연했다.

반면 민간투자자 A사 관계자는 "시가 로봇랜드 땅을 도시공사에 현물출자하는 과정에서 기반공사도 되지 않은 땅을 상업용지로 해 5천480억 원에 감정평가했다"며 "SPC가 땅을 사올 수 없는 정도였고, 이 때문에 시가 기반공사비(약 1천억 원)를 대겠다고 했지만 이 약속도 지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조성실행계획 변경안의 환지 방식을 처음에는 긍정적으로 검토했지만 도시공사가 올해 지가상승률을 고려하면 4천300억 원 이상이 된다는 논리를 펼쳤다"며 "이것은 도시공사가 땅값을 회수하고 시가 부담하기로 했던 기반공사를 회피하는 방법이다"라고 덧붙였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환지 방식은 개발이 끝난 뒤 토지의 동일 가치로 돌려줘야 해서 4천300억 원 정도 추정된다는 것이었고, 감정평가액에 따라 받는 것뿐이다"라며 "민간투자자들이 토지를 현재 가치로 살 수 없다 해서 초기 비용이 나오지 않게 환지 방식을 제안했는데 이것도 비싸다고 하면 사업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언제까지 로봇랜드 이해당사자 간 입씨름만 바라볼 것인가. 이제는 10년의 허송세월에 종지부를 찍을 때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로봇랜드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