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울 노선 광역버스 만성적자의 원인은 2016년 요금 인상(200원) 폭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거리비례제’와 ‘조조할인’에 있다.

경영개선을 위해서는 요금 인상과 거리비례제를 손보고 조조할인을 폐지해야 하지만 시민 부담이 늘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9일 인천시와 업계 등에 따르면 광역버스 요금은 30㎞ 기준 2천650원이다. 5㎞ 늘 때마다 100원씩 요금이 추가(거리비례제)된다.

또 첫 차부터 오전 6시30분까지 20% 조조할인(2천120원)을 해준다. 인천∼서울역 광역버스는 운행거리가 35∼40㎞로 거리비례제 효과가 적고, 조조할인 시간대 이용객이 몰려 적자에 시달린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또 2016년 7월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광역버스 수요도 줄었다. 이용객은 2016년 2천14만4천 명, 지난해 1천685만6천 명으로 16.3% 감소했다.

이날 폐선 신고한 업체들은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던지, 요금을 200원 이상 인상한 뒤 거리비례제 조정과 조조할인 폐지 등이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A업체 관계자는 "올해 광역버스 업체들 적자는 40억∼50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실적인 요금체계로 수정하지 않으면 준공영제로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역버스 1대당 1일 운송원가는 56만9천480원이지만 운송수입은 53만6천130원이다. 지난해 6개 업체 적자는 총 22억 원에 달했다. 광역버스 업체 재정이 악화되면서 운전기사 급여도 준공영제 시내버스 기사보다 60만∼80만 원 정도 적다.

준공영제 실시 이전에는 광역버스 기사의 급여가 더 많았으나 현재는 상황이 역전됐다. 이렇다 보니, 광역버스를 기피하는 현상이 생기고 업체들은 인력난을 겪고 있다.

이미 광역버스 업체들은 운행횟수를 줄인 상태다. 광역버스 업체들은 올해 시가 약속한 23억 원 지원금을 받더라도 지난해 수준인 20억 원대 적자를 예상했다.

내년까지는 상황이 비슷하겠지만 2020년 주 52시간 근무가 도입되면 적자 폭이 너무 커져 준공영제를 하지 않으면 버틸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는 광역버스 지원금이 올해 23억 원이지만 추산해 보니, 내년 60억 원, 2년 뒤 100억 원, 3년 뒤 200억 원 이상으로 올라가 준공영제를 도입하기를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경기도는 애초 시·군에서 광역버스 예산을 지원해 운영하던 것이라 준공영제와 관련해 도에서 부담이 큰 편이 아니지만 인천은 시에서 모두 떠안아야 한다"며 "시장도 ‘답답해하고 안타까워하지만 일회성으로 그때 그때 하지 말고, 늦더라도 원칙에 따라서 가자’고 했다"라고 말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