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업체 관계자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인천시청에서 폐선 신고를 한 9일 시청 앞에서 업체 관계자들이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업체 관계자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인천시청에서 폐선 신고를 한 9일 시청 앞에서 업체 관계자들이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오는 21일부터 서울을 오가는 3만5천여 인천시민의 발이 묶이게 생겼다. 인천시의 무책임한 광역버스 정책 탓이다. 적자구조를 견디지 못한 버스업체가 폐선을 결정하기까지 오락가락한 행정은 불신만 키우는 꼴이 됐다.

9일 인천 광역버스 업체 6곳의 대표는 인천시청을 방문해 인천∼서울 간 19개 광역노선 폐선을 신청했다. <관련 기사 3면>
서울역을 오가는 1000·1400·1500번을 비롯해 9100∼9300번 등 강남행 노선 총 254대가 21일 첫차부터 운행을 중단한다는 계획이다.

업체는 이날 시에 신청서를 접수하고 운행 중단을 안내하는 내용을 각 버스에 부착했다. 광역버스 적자는 수년 전부터 예견됐다. 버스 이용객은 2013년 이후부터 감소 추세로, 지난해에는 16.3%가 줄어 총 1천685만6천 명의 시민들이 이용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22억 원의 적자가 나는 등 매년 20억 원 규모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올해 16% 오른 최저 시급과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법 신설은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했다.

시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지난 3월 업계에 최저임금 인상분에 대한 재정 지원 23억 원을 약속했지만 결국 예산에 반영하지 않았다. 논란이 커지자 시는 당시의 재정 지원 결정을 ‘잘못된 판단’으로 말을 바꾸는 등 일관성 없는 불신 행정으로 눈총을 사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됐는데도 향후 뾰족한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21일 광역버스 운행이 중단되면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의 불편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박남춘 시장은 적자 원인을 포함한 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검토가 끝난 후 이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시가 폐선 신청을 처리해야 하는 기한은 오는 16일로 주말을 제외하면 4일이 남았다. 약속했던 재정 지원을 무산시킨 시 정부가 ‘원칙론’을 고수하는 입장에서는 업체들의 폐선 신청을 반려할 명분은 크지 않아 보인다. 그렇다고 적자구조에서 신규 사업자를 찾기는 더 힘든 상황이다. 일정 유예기간을 두고 폐선하는 조건부 수용 결정을 할 수도 있지만 업체가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오흥석 교통국장은 "예산 지원은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할 것인지 결정이 난 다음에야 하는데, 급하다 보니 거꾸로 갔다"며 "저희가 할 수 있는 일은 반려냐 폐선이냐를 결정하는 것이고, 폐선이 수용되면 사업자를 공모해서 다시 가는 것 말고는 법적인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광역버스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