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3만5천여 명의 시민 발이 되는 광역버스 폐선 여부를 사흘 안에 결정한다. 고질적인 적자구조와 해결책 논의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나올 결과에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12일 시에 따르면 지난 주 광역버스 업체 6곳이 신청한 인천∼서울간 노선 19개에 대한 폐선 신청을 수용할지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문제는 검토 기간이 짧아도 너무 짧다는 것이다. 적자는 요금 인상 폭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거리비례제와 조조할인(20%), 지하철 2호선 신규 개통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한다.

현재 버스 1대당 1일 운송원가는 56만9천480원이지만 운송수입은 53만6천130원이다. 지난해 6개 업체 적자는 총 22억 원에 달했다.

적자개선 방안과 준공영제 도입 가능성 등을 검토하는 시의 용역 결과는 오는 9월 15일쯤에야 나온다. 폐선을 결정한다면 대안까지 나와야 하는데, 오는 16일까지 이를 찾기는 역부족이다.

무턱대고 폐선 했다가는 공백에 따른 시민 불편과 세금 출혈이 예상된다. 시는 민간업체가 들어오지 않아 지난해 동구와 강남을 잇는 노선 개통을 무산시켰다. 적자구조 개선 없이는 신규 사업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신규 사업자가 맡는다고 해도 광역버스를 새로 구입하려면 대당 1억6천∼7천만 원 가량이 든다. 폐선 신청이 들어온 254대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입비만 400억 원 이상이고, 차량이 나오는데도 2∼3달이 소요된다. 현재 공영차고지 3곳(송도·서창·장수) 이외에 민간이나 공영차고지 추가 확보도 쉽지 않다.

전세버스를 임시 활용하는 방안은 운송원가를 맞출 수 없다는 이유로 업자들이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광역버스업체와 협상을 통해 시간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다.

시는 지난 10일 맹성규 국회의원을 찾아 광역버스 사태를 설명하고 국비 지원 및 협조 방안을 건의했지만 이 역시도 당장 해결책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시민들에게 버스 폐선은 눈 앞의 현실이다. 같은 날 시에는 이와 관련한 민원전화가 100여 통 이상 빗발쳤다.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민원은 70건이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