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버스 운명의 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인천시는 16일 오후 ‘노선 폐선이냐, 지원이냐’를 결정한다. 사진은 광역버스 종사자들이 1주일째 시의 지원 촉구 시위을 벌이며 현장 인근에 세워진 광역버스.  <기호일보 DB>
▲ 인천 광역버스 운명의 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인천시는 16일 오후 ‘노선 폐선이냐, 지원이냐’를 결정한다. 사진은 광역버스 종사자들이 1주일째 시의 지원 촉구 시위을 벌이는 현장 인근에 세워놓은 광역버스. <기호일보 DB>
인천시가 광역버스 폐선 결정을 놓고 막판 저울질을 하고 있다. 시는 광역버스 폐선 사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한 관계자 회의를 시장 주재로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예정된 조례규칙심의회를 연기하고 오전과 오후에 거쳐 두 차례 논의했지만 결국 폐선 수용 또는 반려 여부를 결정짓지는 못했다.

시장 방침인 ‘원칙’과 ‘투명성’을 지키면서 시민 불편을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찾기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당장 시민 불편을 따졌을 때는 광역버스 운영적자를 부분 지원하는 것을 조건으로 폐선을 반려하는 쪽에 힘이 실린다. 올해 초 업체에게 주기로 했던 임금인상분 23억 원 중 일부를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예상된다.

폐선이 결정되면 하루 이용객 3만5천여 명의 발이 묶인다. 대체사업자를 찾는데도 수개월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통 공백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일시적인 지원으로 적자구조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시는 일시적인 처방책을 쓰지 않겠다는 입장을 지켜왔다.

폐선을 결정하면 필요한 후속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우선 한시적으로는 전세버스를 빌려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새로 사업자를 공모하기 위해서는 적자 노선 정리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19개 노선에서는 지난해 22억 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업계에서는 이대로 운영을 유지한다면 2018년 43억 원, 2019년 57억 원, 2020년 73억 원의 적자가 날 것으로 내다봤다. 폐선 이후 대책으로 기존 버스 근로자들의 고용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것 역시 행정의 고려 사항이다. 이 중 버스업체가 주장하는 준공영제 도입에서 나아가 시가 직접 버스를 운영하는 공영제 시행도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조 인천버스지부는 이번에 버스 운송사업 면허를 반납받고 완전 공영제를 실현하라고 촉구했다. 공영제를 도입한다 해도 공공기관의 높은 인건비 수준과 버스·차고지 구입비 등을 감당하려면 수익구조 개선은 불가피하다. 문제는 시민들이 겪을 불편이다.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적자 노선 폐지나 감차가 이뤄졌을 때 마땅한 대안이 없는 것이 문제가 된다.

아직 개발 중인 데다 지하철이 없는 서구 가정동·불로동 주민들은 이번 사태로 출근길이 끊길까 발을 구르고 있다. 한편, 시는 광역버스 폐선 여부를 16일 결정하고 향후 대책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광역버스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