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1단계 시설 착공 여부를 놓고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애초 ‘수(水) 처리와 수변 활용’으로 출발한 이 사업은 덩치를 한껏 키웠다. 2011년 7월 민선5기가 그린 장밋빛 청사진 ‘물의 도시 송도’였다. 하지만 부동산시장이 얼어붙고 인천시가 재정난을 겪으면서 사업 추진을 놓고 찬반 논란에 휩싸였다. 우여곡절 끝에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이 오는 10월에 첫 삽을 뜬다. 본보는 이 사업이 지속적인 재원 확보를 통해 송도국제도시를 진정한 수변도시로 바꿔 놓을 수 있을지 짚어 본다. <편집자 주>
▲ 김진용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이 20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가지고 송도워터프론트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김진용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이 20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가지고 송도워터프론트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인천에는 물을 만질 수 있는 친수시설이 거의 없다. 중구 월미도에 가면 바닷물을 접할 수 있는 친수계단이 있지만 거칠고 위험천만하다. 마땅한 친수공간이 없다 보니 여름휴가철에도 수천 명의 시민들이 무료 개방한 시흥시 배곧신도시 내 해수체험장을 찾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 6·8공구 하단부에 워터프런트 1-1구간(1단계)을 설계하면서 친수계단을 구상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하지만 1-1구간은 송도 6·8공구와 1·3공구를 연결하는 도로와 다리를 놓고 호우 피해에 대비한 방재시설 성격이 강하다. 요트와 중대형 선박이 물 위를 떠다니고 인공해변에서 일광욕을 즐기면서 힐링할 수 있는 그림은 꿈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은 지난 9일 열린 인천시 지방재정투자심사의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앞서 타당성조사 용역을 벌인 한국지방행정연구원과 이날 재정투자심사를 벌인 위원들은 수질 개선 및 방재 사업은 되나 친수공간 마련은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1단계 전체 사업의 경제성이 현저히 낮고 부적정하다고 판단한 위원들은 재원 마련의 현실적 어려움을 핵심으로 지적했다.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특별회계 결산 결과, 남아 있는 순세계잉여금 3천여억 원으로 2천546억 원이 드는 1단계 사업을 충분히 진행할 수 있다고 연구원과 시를 설득해 왔다. 2단계 사업까지 합치면 총 6천215억 원이 든다. 인천경제청은 수로 주변에 형성되는 상업용지 12개 필지(423만여㎡)를 매각하면 8천500여억 원의 수익 창출이 예상된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3.3m당 750만 원 수준이다.

하지만 이 같은 논리도 위원들을 설득하기에는 부족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인천경제청의 반복적인 설명에 당초 경제적 타당성을 나타내는 편익비용분석(B/C)값을 0.3에서 0.739까지 끌어올려 준 것으로 파악됐지만 B/C값은 결국 기준치인 1 이상을 넘지 못했다.

시와 투자심의 위원들도 같은 생각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에 민감한 부동산시장의 특성상 수로 주변에 새롭게 들어설 근린생활시설이 제때에 원하는 가격에 팔려 워터프런트 재원을 조달할 수 있겠느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끝까지 관철했다. 현재 송도 1공구에 있는 대규모 근린생활시설은 장사가 안 돼 고사 직전인 상태다. 송도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역시 3년째 멈춰 서 있다. 지금의 부동산시장과 향후 경기 변동성을 내다본 위원들의 주장이 인천경제청의 장밋빛 계획을 현실로 되돌려 놨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